몽유병자들 - 1914년 유럽은 어떻게 전쟁에 이르게 되었는가
크리스토퍼 클라크 지음, 이재만 옮김 / 책과함께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절상 6월은 사람의 신체를 몽유병자로 만드는 시즌인데..
몽유병자의 신체로 2주간에 걸쳐 틈틈이 <몽유병자들>을 읽다. 
20세기 초 발칸의 지형학을 설명하는 다소 느린 전개의 1부와 복잡하게 뒤얽힌 당대 유럽의 정치질서를 분석하는 2부, 그리고 사라예보 사건 이후 1차세계대전 발발에 이르는 1개월여의 기간 동안 급박하게 돌아가는 유럽 정계를 박진감있게 기술하는 3부에 이르기까지 800여 페이지에 이르는 기나긴 서술을 마친 후, "1914년의 주역들은 눈을 부릅뜨고도 보지 못하고 꿈에 사로잡힌 채 자신들이 곧 세상에 불러들일 공포의 실체를 깨닫지 못한 몽유병자들이었다."라는 결론의 마지막 문장을 쓰면서 저자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삼국동맹과 삼국협상. 그리고 전쟁발발의 책임은 독일과 그 동맹에 있다는 이른바 '피셔 테제'의 전통적인 주장에 맞서, 저자가 그린 1914년은 서로를 불신하면서 한정된 정보만으로 상대를 오판하면서 급기야 치명적인 비극으로 휩쓸려 들어가는 비극의 서막이다. 저자가 지적하는 것처럼, 알바니아 영토국가의 갑작스러운 등장, 흑해에서 오스만과 러시아가 벌인 해군 군비 경쟁, 소피아에서 베오그라드로 방향을 돌린 러시아의 정책 등, 당시 국제체제의 급속한 변화는 1914년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면서 정치적 행위자들의 시야를 가렸고, 그들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 본다면, 1914년 1차세계대전 발발을 바라보는 저자의 신중한 관점이 1914년의 전쟁은 혁명과 자본, 그리고 제국의 시대라는 장기 19세기를 거쳐 부풀어오를대로 부풀어오른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모순이 한 폭발이라는 맑스주의자들의 주장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다고 보기도 어려울 것 같다. 물론 이 책의 장점은 그러한 결과론을 뒷받침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파국으로 치닫는 기나긴 과정의 섬세한 재구성에 있겠지만.. 

거듭되는 위기와 안개 속에서 길을 잃고 전면적인 파국의 가능성을 자신들의 특정한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지렛대로 활용해버리는 몽유병자들의 위험한 도정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고백한다 3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1
자우메 카브레 지음, 권가람 옮김 / 민음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망각협정, 사과 없는 화해, 용서만을 요구하는 이 사회에, 작가는 아드리아의 처절한 ‘고백‘이자 ‘유언‘으로 하나의 응답을 제시한다. 하지만 그 응답의 토대는 너무도 미약하다. 불확실성의 바다에서 확실성의 섬이 되어야 할 ‘약속‘은 배신당한다. 평범한 일상 속에 깃든 악들.. 가슴이 먹먹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평등의 세대 - 누가 한국 사회를 불평등하게 만들었는가
이철승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86세대에 대한 비판적 분석도 돋보이지만, 한국 사회의 세대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불평등을 다룬 4장 때문에, 단순한 ‘386개새끼론‘을 넘어 현재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탁월함은 인정. 다만, 극복의 ‘의지‘는 보이지 않는다. 비판의 칼끝은 내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고백한다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0
자우메 카브레 지음, 권가람 옮김 / 민음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권의 책을, 3권으로 나누는 민음사의 상업성에는 분노하지만.. 중세의 이단심판과 아우슈비츠, 이행기 시대의 스페인이라는 세 시공간의 역사를 우르젤의 그림 속에 겹쳐쓰면서(팔림프세스투스) , ˝이미 저질러진 악을 바로잡는 것은 가능한가˝라는 물음을 던지는 4-5부의 구성은 가히 압도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고백한다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69
자우메 카브레 지음, 권가람 옮김 / 민음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개월 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는다. 재독서의 영예. ˝어떤 책들은 무슨 이유로 그런 영예를 얻게 됩니까?˝ 이사야 벌린은 말한다. ˝독자를 매혹하는 능력이지요. 계속 찾게 되는 책들은 그 지적 사고 혹은 아름다움 때문에 경외하게 됩니다. 재독서의 본질상 언제나 모순을 경험하지만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