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 스타시스, 정치의 패러다임
조르조 아감벤 지음, 조형준 옮김 / 새물결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홉스의 리바이어던에 대한 독해를 통해 아감벤이 던지는 물음을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홉스의 국가이론, 즉 <리바이어던>을 제지하는 자, 즉 카테콘katechon적 전통에서 바라볼 것인가(슈미트), 아니면 "지상의 시간이 종말에 이르면 제거되어야 할 저 종말론적 짐승"으로 볼 것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아감벤은 하필이면 왜, 홉스가 자신의 책에 <리바이어던>이라는 제목을 선택했을까 라는 소소한, 하지만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논의를 이어간다..다시 말하면 "커먼웰스의 이론을 제공하려고 한 홉스는 왜 적어도 기독교 전통 내에서는 악마적 함의를 지니고 있던 괴물의 이름으로 그러한 커먼웰스를 불렀을까" 하는 것이다..

 

 

아감벤의 논증 자체가 정확한 것인지 평가할 수 있는 지식이 내게는 없다.. 사실 내심 아감벤의 논증의 허황성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다른 사유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으면 하는 바람도 없지 않다..

 

도상학적 전통에서 보았을 때, 리바이어던은 적그리스도는 종말론적 전통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종말의 잔혹한 괴물을 가리키는 악마의 뱀 리바이어던 위에 앉은 적그리스도"), <리바이어던>은 철저히 기독교적 종말론적 전통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아감벤의 주장은 어떤 함의를 지니는 것일까..

슈미트의 해석이 틀렸고, 내가 맞았다는 식의 해석학적 배틀을 하려는 것 같지는 않고..

아무래도, 카테콘적 세계관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종말론에서 찾으려는 것 같긴 한데..

"리바이어던의 왕국과 하느님의 왕국은 정치적으로 자율적인 두 개의 현실로, 결코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후자가 실현될 때 전자는 필연적으로 사라져야 한다는 의미에서 둘은 종말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 그렇다면 그 다음은?

 

역시 이 부분을 우리가 가진 언어로 명확히 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것은 어쩌면 하나의 태도, 혹은 방법과 같은 것일텐데..

벤야민을 읽을 때마다 어렴풋하게나마 떠오르는 그 무엇..

아감벤 역시 그 희미한 불빛에 의존하며 사색을 이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