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 전집 5
프란츠 카프카 지음, 오용록 옮김 / 솔출판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2016년의 마지막 날부터 2017년의 첫날에 걸쳐 카프카의 <성>을 읽다..

95년 여름, 기숙사에서 지금도 선명한 빨간 색 표지의 범우사 판, <성>을 읽은지 꼬박 22년만에 이루어진 성으로의 재도정이다..

새마을운동 깃발이 아직 휘날리던, 아침마다 6시가 되면 기상음악과 함께 근린공원에서 아침체조를 해야 했던 기숙사에서, 꽤나 성실했던 까마득한 학번의 룸메 형님의 성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끌려나가 기지개를 켜고 돌아와 하루에 서너 페이지씩 읽던 시절이 있었다..

기상음악으로 김광석의 <일어나>가 울려퍼지던, 지금 생각해도 소름이 돋는 곳이었다..

-광석 형님이 이 사실을 알았으면 얼마나 비통해 했을 것인가..-

 

범우사판의 다소 고답적인 번역투 탓도 있었겠지만.. 성은 그닥 진도가 나가지 않는 소설이었다.. 하루에 서너 페이지로 읽기를 제한했던 것도, 그 때문이었다..

2016년 이 책을 다시 꺼내 읽으면서, 작품이 주는 흡입력에 새삼 놀라웠다.. 그건 내가 나이가 든 탓일까.. 아니면 세상이 그만큼 망가졌다는 탓일까.. <응사>의 장밋빛에 동조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90년대 중반은 아름다운 시절이었다.. 이건 결코 기억의 습작의 영향만은 아닌 것 같다..

 

새해 아침에 일어나, 홀로 소파에서 카프카의 성의 마지막 장들을 읽었다.. 처음의 강렬함에 비해 후반부로 갈수록 조금씩 독해가 버거워진다.. 도저히 파악조차 불가능한, 그리고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포 위에서 군림하는 위압적인 성=관료제와의 싸움/투쟁 속에서 지쳐가는 K의 모습을 보며, 나 역시 조금씩 지쳐가고 있었다.. 

면장집을 찾아가고, 또 프리다를 얻기 위해 여주인과 어찌 보면 무의미해보이는 대화를 이어가고, 무모하게 클람과의 만남을 기획하다가 계속 좌절하는 K는 결국 프라다를 잃고, 자신의 직업/임무와 관련해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얻지 못한 채 계속 빙글빙글 그 주변만을 배회하고 있었다.. 작품의 후반부에서 그를 엄습하는 <졸음>은 아마 그의 피로감의 한계가 절정에 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리라.. 그는 졸음 탓에, 우연히 찾아온 성의 관리/비서와의 만남 역시 자신의 의도대로 이어가지 못한 채, 다시 무기력하게 패퇴한다..

 

물론 이 소설은 미완이다.. 카프카는 과연 어떤 결말을 예비하고 있었던 것일까. <소송>에서와 같은 개같은 죽음을? 아니면 한걸음이라도 성에 다가설 수 있다는 희망을 남기려 했을까.. 아직까지는 전혀 다음을 예측할 수 없다.. 아니 조금 무의미하기까지 보이는 보이는 행동들과 대화들이 만들어낸 짙은 안개 속에서 독자인 내가 그 끈을 놓쳐버렸는지도 모른다.. <무의미>에서 어떤 의미를, 혹은 무의미를 찾는 것이 이 소설의 문제의식이라면, 나는 그것을 찾다가 하루가 저물어버린 법 앞의 그인지도 모르겠다..

 

예전에는 카프카의 작품이 푸코가 탁월하게 그려낸 규율권력의 압도적인 외관 속에 숨어 있는 관료제 자체의 우스꽝스러움을 폭로하는 블랙유머를 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곤 했는데, 이번에 <성>을 다시 읽으면서 어쩌면 이 작은 인간들의 우스꽝스러운 행위들의 총체야말로 관료제가 갖는 힘일지도 모른다는 불안한 생각이 다시 머릿속에 또아리를 틀었다.. 마치 상대방을 쓰러뜨리기 위해 강한 펀치를 날렸는데도, 뭔가 주먹이 쑥 들어가버릴 뿐 아무런 반응이 없을 때 느껴지는 찝찝함, 공허함같은 그런 느낌.. 관료제는 바로 그런 좌절감을 불러일으키는 성과 같은 곳인지도 모른다.. 2016년 연말을 우울하게 만들었던 청문회의 풍경-나는 아무 것도 모르오!!-을 보면서 그런 느낌이 더욱 짙어졌다..

 

그렇다면 그런 사회에서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우리는 어떤 싸움을 해야 하는 것일까.. 성의 마지막 결말은 왠지 승산 없는 싸움에서 몰릴 대로 몰린 K의 무력함을 보여주는 듯한 느낌이다.. 심지어 때로는 대등한, 아니 우위에서 대화를 나눴던 여관집 여주인과의 관계도 25장에서는 완전히 그 관계가 반대로 뒤집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말 그런 것일까.. 혹시 이 역시 정면으로 부딪쳐서는 절대로 승산이 없는 이 싸움에서 K가 선택한 새로운 투쟁 전략인 것은 아닐가..

 

바틀비가 문득 떠올랐지만, 아직은 스쳐 지나가는 느낌 뿐.. 나 역시 그의 싸움의 의미를 지금 당장 정의해내지는 못할 것 같다.. <성>의 미완의 장은 결국 K의 싸움이자, 독자인 우리들의 싸움인 것이다.. 

 

 

 

관의 결정은 수줍은 소녀같다..

관청과 직접 접촉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K는 눈에 선히 가까이 있는 것, 자기 자신을 위해, 게다가 맨 처음만은 자진해서 싸우는 데 반해 관청은 비록 조직은 잘 되어 있을진 모르나 항상 멀리 떨어져 보이지 않는 분들의 권위를 빌려 방어해야 했던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공격자이며, 그리고 그 혼자만 싸우는 게 아니라 분명 다른 세력도 싸웠으며 그는 이들을 모르지만 이들이 있다는 것은 관청의 조치로 미루어 믿을 수 있었다. 하지만 관청에서는 처음부터 사소한 일을 갖고-지금까진 그 이상 되는 문제는 없었다- 그를 방해하진 않았으며 그럼으로써 그에게서 하찮고 손쉬운 승리 가능성, 그리고 이 가능성과 아울러 그에 따른 만족감과 거기서 생긴, 장차 벌어질 큰 싸움에 대한 자신감을 앗아갔던 것이다. 그 대신 그들은 K를, 물론 마을 안에서만, 어디든지 가고 싶은 데를 마음대로 나다니며 제멋대로 굴고 약해지게 만들어, 아예 여기선 싸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대신 그의 삶을 사적인, 전혀 종잡을 수 없고 불투명한, 생소한 것으로 바뀌도록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