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치의 병사들 - 평범했던 그들은 어떻게 괴물이 되었나
죙케 나이첼.하랄트 벨처 지음, 김태희 옮김 / 민음사 / 2015년 10월
평점 :
마지막 책장을 덮고나니 한숨밖에 나오지 않는다..
읽어가는 내내, 그 자료의 생생한 현장성에 압도당하는, 말 그대로 살 떨리는 체험이었다..
전쟁이 아직 끝나지도 않은 시점에서 당시 적군인 <독일군 포로들의 도청기록>과 같은 자료수집 시스템을 구축한 영국의 역량에 대해 우선 경이로움을 표할 수밖에 없다.. 물론 그들이 이런 인간정보를 수집한 이유는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즉 적을 이해하기 위해서였다..
세월이 흘러 이제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는 이 먼지 쌓인 자료를 영국 국립보존기록관에서 찾아낸 독일인 저자는 영국 측의 의도와는 다른 목적으로 읽어내고자 한다..
지난 2차대전 시기 군대가 그토록 엄청난 집단적 학살-섬멸, 박해, 제노사이드, 홀로코스트-을 자행한 원인은 무엇인가..
저자들에 따른다면, 그것은 광기도, 이데올로기도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학살을 가능하게 한 것은 군대와 전쟁이라는 프레임이라는 것이다.. 이 책에 실린 독일군 병사들의 증언들을 읽고 있노라면, 전시라는 상황 속에서 자신의 맡은 바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전쟁 노동자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때로 자신들 앞에 펼쳐진 풍경들에 두려움이나 양심의 가책을 느끼기도 했겠지만, 그들은 자신의 집단의 규범에 따라 평시라면 결코 하지 않았을 이 엄청난 만행을 묵묵히 수행했다.. 저자의 개념을 빌린다면 <집단사고>, 그리고 <경로의존성>에 따라..
이를 염두에 둘 때, 사회적 범죄의 한편에는 범죄를 계획하고 예비하고 실행에 옮기는 가해자들이 있고 다른 한편에는 이런 행위에 대해 어느 정도 '아는' 방관자나 관객이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 모두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즉 어떤 사람은 더 강력하고 열성적으로, 어떤 사람은 좀 더 회의적이고 무관심하게, 공동의 사회적 현실을 함께 만들어 낼 뿐이다. 그리고 바로 이런 사회적 현실이 제3제국의 프레임을 이루었다.
<악의 평범함>(아렌트), 그리고 밀그램의 실험에 이어, 우리는 폭력의 역학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개념을 갖게 되었다.. <프레임>. 그것은 밀그램이 강조한 <사회적 관계>를 조금 더 사회문화적으로 확장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폭력을 막기 위해서는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는 말일텐데, 그게 과연 말처럼 쉬운 일일까.. 저자들은 왜 평범했던 그들이 괴물이 되어가는가를 생생하게 보여줬다.. 하지만 괴물로 화하는 과정을 막을 수 있는 그 <무엇>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상을 제시해주지 못했다.. 오히려 그 과정 자체가 너무나 당연한natural 것처럼 느껴져서 무력감마저 들 정도이다..
하지만 10만 페이지가 넘는 그 자료들을 꼼꼼히 읽어가는 과정, 그리고 그 자료들을 분류하고 해석하는 작업이야말로, 연구자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저항>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그 프레임이 아무리 탄탄하고, 그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이 아무리 비관적이라 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