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하엘 콜하스 ㅣ 창비세계문학 14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지음, 황종민 옮김 / 창비 / 2013년 2월
평점 :
독일 낭만파 작가들에 조예가 깊은 이가 아니라면..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라는 작가의 이 작품을 무심코 지나쳤을 지도 모르겠다..
내가 이 작가를 알게 된 것 역시 오에 겐자부로의 <아름다운 애너벨 리 싸늘하게 죽다>를 읽은 후였다.. 오에의 작품 속에 삽입되어 있던 <미하엘 콜하스>는 굉장히 매력적이었고, 그래서 비록 허구이지만 오에가 상상했던 M프로젝트, 즉 <미하엘 콜하스>라는 작품을 일본과 한국이 동시에 영화화하는 기획이 실제로 성사되었다면 하는 뜬금없는 공상을 해보기도 했다.. 미하엘 콜하스의 봉기와 근세 일본 사회의 잇키, 그리고 19세기 한국사회의 민란과 농민전쟁을 아래로부터의 시각에서 그려낼 수 있다면, 매우 야심찬 국제적 <봉기와 유토피아> 프로젝트를 꾸릴 수 있을 것 같기도 했다.. 오에 정도라면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 쪽 카운터 파트는 누가 좋을까.. 아쉽게도 떠오르지 않는다.. 오에가 기대했던 김지하는 예전의 김지하가 아니다.. 황석영 역시 믿음이 가지 않는다.. 홍명희 선생 정도라면 기대해봄직 하지만.. 임꺽정에서 장길산으로의 궤적이 상상력의 측면에서 본다면 오히려 후퇴라는 사실은 한국 현대사의 비극이다..
16세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 작품은 클라이스트가 살았던 18세기 말~19세기 초 유럽 대륙의 <혁명적 분위기> 아래 구상되었다.. 국가란 무엇인가를 둘러싼 루터와 콜하스의 긴장감 넘치는 논쟁은 사회계약론의 세례를 받지 않고서는 나올 수 없는 것이다.. 물론 콜하스의 행위를 <불의>라고 꾸짖는 루터의 방문이나 콜하스와의 논박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종교개혁의 선구자이면서도, 아래로부터의 농민들의 요구에는 지극히 냉담했던 보수적 성직자의 전형으로서의 루터의 성격은 잘 표현하고 있지만, 자신의 행위를 <정의>로서 정당화하는 콜하스의 논변 밑에 깔려 있는 망탈리테는 무엇이었을지 여전히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진즈부르크 등의 미시사가들이 시도했던 것처럼, 16세기 유럽의 민란에 대한 정확한 고증이 뒤따랐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클라이스트는 역사가가 아니다.. 또 아마 그랬다면, 미하엘 콜하스와는 전혀 다른 개성의 인물이 나타났을 것이다.. 콜하스와 같이 16세기를 살면서, 지배층의 횡포에 대해 분노하던 사람들은 어떠한 논리로 생각하고, 행동했을까 하는 공상을 해보지만,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최근에 읽은 텍스트의 등장인물과 겹쳐 보더라도 메노키오나 뮌처 정도이다.. 16세기의 인간과 21세기의 인간 사이에는 공통점만큼이나 많은 차이점들이 놓여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궁금한 점은 오에가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왜 클라이스트는 예언을 하는 집시여인이라는 소설 전체의 플롯에서 본다면 다소 위태로운 인물에 집착했던 것일까.. 집시여인이 점술로 작센의 멸망을 예언하는 대목은 클라이스트의 역사적인 정치사상의 발현으로 보아야 할까, 아니면 낭만주의적 이야기의 일반적 장치인 것일까.. 그럼에도 처형장으로 향하면서, 작센 선제후가 보는 앞에서 그를 몇번이고 혼절시켰던 그 문제의 쪽지를 꿀꺽 삼켜버리는 장면은 이 작품에서 <신의 한 수>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어쨌거나 18세기 문학이라고 하기에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 흡인력과 시의성을 갖춘 작품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원자력 마피아, 해피아, 철피아 등 권력의 부조리한 야합은 만연하고 여전히 무책임의 체계가 지배하고 있는 이 사회에서는..
제가 인간 사회에서 추방당한 게 아니라면, 제가 인간 사회와 벌이고 있는 전쟁은 악행입니다. ... 제가 말하는 추방당한 자란, 콜하스는 종주먹을 불끈 쥐며 대답했다.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자를 뜻합니다! 저는 그 보호를 받아야만 평화롭게 사업을 번창시킬 수 있습니다. 그 보호를 믿었기에 모은 재산을 다 들고 이 사회에 들어온 것입니다. 이런 보호를 해주지 않는 것은 저를 황야의 야수들에게 쫓아내는 것입니다. 저 자신을 지키라고 제 손에 몽둥이를 쥐여주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