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언젠가 힐베르크-아렌트-레비-아메리-아감벤으로 이어지는 사유의 궤적에 대해 글을 쓰기로 한다..
우선 레비에 대한 책들을 계속 번역 출판하고 있는 <돌베개>에 고마움을 전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레비의 사색의 여정을 가장 충실하게 보여주는 이 책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가 가뜩이나 불황인 한국 출판시장에 번역되어 나왔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이 책이 많은 이들에게 읽히고 있는 현실은 현재 우리네 삶의 각박함을 반영하는 것 같아 그닥 마음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
왜 인간은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지 못하는가..
왜 아우슈비츠와 같은 악-오류는 계속 되풀이되는가..
오늘 말하고자 하는 것은 아주 사소한 것이다..
그건 아마 너무나 절실하게 번역되어 나온 이 책에 대한 애정 때문이다..
번역으로도 레비의 고뇌가 충분히 전달될 만큼 매끄럽게 번역해준 역자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책에도 나오듯이 레비에게 자신의 언어를 번역하는 것은 몹시도 중요한 것이었다..
문제는 한자어이다..
아주 사소한 한자 병음의 오류가 이 책의 가치를 떨어뜨려서는 안 될 것 같다..
예를 들어..
106페이지의 이식은 아무리 봐도 利殖이 아니라 移殖, 혹은 이주(移住)이고..
183페이지의 역은 易이 아니라 逆인 것 같다..
이런 것들은 혹 번역과정에서 오타에 의해 발생하더라도, 편집부가 충분히 잡아줄 수 있는 오류이다..
그나마 몇 안 되는 한자어 병기에서 생기는 이러한 오류들이 이 책을 훼손시키는 것 같아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2쇄에서는 꼭 반영이 되길 바란다..
공포, 이데올로기적 유혹, 승자를 곧이곧대로 모방하는 것, 어떤 권력이건 간에-우스꽝스러울 정도로 시간과 장소에 제한된 권력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향한 근시안적 욕망, 비겁, 명령이나 규율 자체를 교묘하게 피하려는 철저한 계산에 이르기까지 그 동기는 다양하다. 이 모든 동기들은 각개로든 서로 결합되어서든 이러한 회색지대를 만들어내는 데 작용했고, 이 회색지대의 구성원들은 특권을 갖지 못한 사람들에 대해 자신들의 특권을 지키고 강화하려는 의지로 서로 결합했다.
반복하지만 진짜 증인들은 우리 생존자가 아니다. 이것은 불편한 개념인데, 다른 사람들의 회고록을 읽고 여러 해가 지난 뒤 내 글들을 다시 읽으면서 차츰차츰 인식하게 된 것이다. 우리 생존자들은 근소함을 넘어서 이례적인 소수이고, 권력 남용이나 수완이나 행운 덕분에 바닥을 치지 않은 사람들이다. 바닥을 친 사람들, 고르곤을 본 사람들은 증언하러 돌아오지 못했고, 아니면 벙어리로 돌아왔다. 그러나 그들이 바로 "무슬림들", 가라앉은 자들, 완전한 증인들이고, 자신들의 증언이 일반적인 의미를 지녔을 사람들이다. 그들이 원칙이고 우리는 예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