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로니아 찬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6
조지 오웰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라미나의 병사들>을 읽고 난 후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찬가>를 읽었다.. 여러모로 켄 로치의 영화 <랜드 앤 프리덤>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었다.. <스페인 내전>이 어떤 사건이었는지 처음으로 가르쳐준 영화.. 아주 오래 전에 본 영화지만, 지금도 장면 장면이 생생하게 머릿속에 남아 있다.. 전투 중에 먼저 세상을 떠난 동지들의 장례를 치러주면서 인터가를 부르는 전사들의 모습에서 해방구의 토지정책을 놓고 마을주민들과 민병대들 사이에서 격론을 벌이던 장면, 그리고 파시스트들과의 거듭되는 전투에 상처뿐인 민병대를 지원해주기는 커녕 오히려 그들을 <불법단체>로 규정하고 강제로 무장해제시키는 정부군에 울분을 터뜨리던 전사들의 얼굴표정까지.. 영화의 메시지가 하도 강렬해서, 한동안 당시만 해도 소지하면 <불법>이라고 하던 트로츠키주의 신문을 팔러 다니던 사람들(그 때만 해도 학관 근처에 어슬렁거리면 그런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다)에게 괜한 <친근감>까지 느낄 정도였다..

<카탈로니아 찬가>를 읽다보니, 이후의 작품인 <동물농장>에서 잘 드러나는 것처럼 오웰이 왜 그토록 <스탈린주의>에 강한 반감을 가졌는지도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는 심지어 <왜 그런 장을 거기 넣었는가? 좋은 소설이 될 수도 있었는데 그것 때문에 저널리즘이 되고 말지 않았는가>라는 (자신이 존경하던 비평가의) 비난도 무릅쓰고 당시 전쟁의 정치적 지형도를 트로츠키파의 입장에서 상당히 길게 기술하고 있다.. 그것은 아마 동지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이들에게 뒤에서 칼을 맞은, 혁명의 배반을 무기력하게 지켜보아야 했던 자가 삼켜야 했던 <분노>의 표출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스마일리의 죽음은 내가 쉽게 용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스마일리는 용감하고 재능있는 청년이었다. 그는 파시즘과 싸우기 위해 글래스고 대학의 자리를 내팽개쳤다. 또한 내가 목격한 대로, 그는 흠 잡을 데 없는 용기와 흔쾌함으로 전선에서 자신의 임무를 수행했다. 그런데 저들이 그에게 해준 일이라고는 그를 감옥에 집어넣고 방치된 동물처럼 죽게 만드는 것뿐이었다. 막대한 인명이 희생되는 대전쟁의 와중에서 한 개인의 죽음을 놓고 너무 법석을 떠는 것이 소용없는 일임은 나도 안다. 혼잡한 거리에비행기가 폭탄 하나만 떨구어도 정치적 박해를 여러 번 가하는 경우보다 더 큰 고통이 생긴다. 그러나 내가 이런 죽음에 화가 나는 것은 그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전투 중에 죽는 것-- 그래,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기대하는 바이다. 그러나 투옥이 되고, 그것도 날조된 범죄 혐의도 없이 그저 맹목적이고 어리석은 악의로 인해 투옥이 되고, 혼자 내팽겨진 채 죽어간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이다. 이런 따위의 일--스마일리의 겨우는 예외적인 것 같지도 않다--이 어떻게 전쟁의 승리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인지 나는 도무지 모르겠다.

그가 처음부터 <트로츠키주의자/무정부주의자>였던 것은 아니다.. 스페인에 처음 왔을 때 그가 속하게 된 부대가 우연히 의용군들로 이루어진 <민병대>였을 뿐이고, 서두에서 밝히듯 <스페인에 처음 왔을 때, 그리고 그 후 얼마 동안도, 정치적인 상황에는 관심이 없었을 뿐 아니라 알지도 못했다>. 심지어 그는 민병대 활동을 하면서도 <국제여단>(공산당계)에 들어가기를 희망하기도 했다.. 내전을 경험한서 그가 점차 무정부주의에 동조하게 된 데에는 무정부주의의 정치적 강령이나 신념에 대한 동조라기보다는, 파시스트라는 공통의 적과 대치한 상황에서도 당파적 이익을 앞세우는, 그 결과 이데올로기적 분란을 넘어 동지를 피로 숙청하는 <소비에트주의>에 대한 분노가 컸다. 그리고 그는 파시스트 타도를 위해 함께 싸웠던 동지들이 숙청되는 것을 무기력하게 지켜보면서, 몰래 스페인을 빠져나올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는 결코 자신이 겪은 환멸에 영혼을 팔지는 않았다.. 오웰이라는 작가의 위대성을 발견하는 지점도 바로 여기다.. 본업인 <근대 일본의 정치문화>를 연구하면서 무수히 지켜보아야 했던 지식인들의 <전향転向>.. 비단 일본뿐일까.. 과연 소위 <386>들의 현 모습에서 전향의 그림자를 걷어낼 수 있을까.. 하지만 마찬가지로 소비에트에 대한 환멸이 유럽 사회에 몰고 왔을 엄청난 <전향>의 광풍에서 오웰은 꿋꿋이 자신의 신념을 지켜낸다.. 물론 그것은 <당의 위대성>에 대한 맹목적인 고수는 아니다.. 대신 그는 <내부적 비판자>라는 위험하면서도 고독한 길을 걸어갔다..

내 역할에 무력함을 느꼈던 이 전쟁은 나에게 대체로 나쁜 기억만을 남겼다. 그러나 전쟁이 없었기를 바라지는 않는다. 이런 참사--어떻게 끝이 나건 스페인 전쟁은 살육과 신체적 고통은 별도로 하고라도 경악할 만한 참사였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를 잠깐 보았다고 해서 꼭 환멸과 냉소만 생기는것은 아니다. 이상한 일이지만, 그 경험 전체를 통해 인간의 품위에 대한 나의 믿음은 약해지기는커녕 오히려 강해졌다.

오웰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는 것도 없고, 시간도 없다..<랜드 앤 프리덤>을 다시 한 번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