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 재팬, 마지막 정점을 찍은 일본 - 팽창을 향한 야망과 예정된 결말
브래드 글로서먼 지음, 김성훈 옮김 / 김영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은 어디로 향하는가: 헤이세이 30년의 기록>을 읽은 후, 내친 김에 브래드 글로서먼의 <피크 재팬: 마지막 정점을 찍은 일본>을 이어 읽다.. 그러고보니 이번 주 초에 읽은 R. 맥그리거, <미국, 새로운 동아시아 질서를 꿈꾸는가>와 시기에 있어서나, 대상에 있어서, 그리고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다소 겹치는 책이다..

 

구미 출신의 소위 '일본통', 국제문제 전문가들이 바라보는 일본 사회 인식의 한 단면을 잘 보여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마 이 책의 저자가 1970-80년대에 일본에서 살았다면, <일등국가 일본Japan as Number One>과 같은 책을 썼을 것이다(실제로 하버드 교수가 쓴 동명 저서가 있다)..

당대 구미 학계에서 나오던 <일본론>의 주류가, 일본의 경제적 풍요를 부러워하고/질투하면서 그 경제적 잠식에 경계의 눈초리를 보내는, 양가감정이 뒤섞인 것들이었다고 한다면, 2010년대 이후의 <일본론>은 "너희들.. 어떻게 된 거니.. 왜 이렇게 된 거야.. 뭐가 문제니.. 내가 분석해줘?"라고 걱정해주면서, 일본형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주적인) 중국의 부상과 같은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그래도 (중국보다는 믿을 수 있는) 너네들이 좀 버텨줘야 하지 않겠니"라고 온정의 시선으로 다독여주는 텍스트들이 대세가 아닌가 싶다..

 

이 책 역시 1990년대 중반 버블 붕괴 이후 변화하는 국제사회의 현실 속에서 갈 길을 잃어버린 채(잃어버린 10년+ 또 10년 하면서) 방황하는 일본 사회에 불어닥친 쇼크들- 리먼 쇼크, 정치 쇼크, 센카쿠 쇼크, 동일본대지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뒷걸음질 치는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내부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현재적 전망을 제시하는 다소 '안이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저자가 국제정치 전문가이다보니, 아무래도 내부적 문제들에 대한 검토 역시 자민당으로 대표되는(물론 3년간의 민주당 시절은 아마추어들의 막간극으로 처리되지만) 일본 정치시스템의 구조적 한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정치 이외의 다른 층위들에 대한 검토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당장 드는 의문은 그렇다면 80년대까지 일본 사회가 잘 나갔던 것은 일본 정치가 선진적이었기 때문이란 말인가.. 항상 그 때도 일본 정치는 문제적이라고 비판을 받았는데.. 그렇다면 현재와 같은 글로벌 사회, 그리고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정치'의 영역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말인가? 이런 '엉뚱한' 문제에 사로잡히지 않기 위해서는 이런 종류의 책들이 줄기차게 되풀이하는 <일본형 시스템> 자체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한데, 대개 그렇듯이 이 <일본형 시스템>이 마치 자동인형처럼 계속 설명 없이 등장하면서 문제를 정리해버리는 것이 본질적인 문제가 아닐까 싶다. 그 결과 80년대까지는 전세계적으로 상찬되던 <일본형 시스템>이 지금은 일본 사회 개혁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다소 이상한 결론으로 끝나버리는 것이다.. 과연 일본형 시스템이란 것은 무엇일까? 한국사회에서 꽤 오랫동안 살았지만, 나 역시 <한국형 시스템>이라는 것이 뭔지 잘 모르겠는데 말이다..

 

책이 끝날 때 쯤에야 저자는 이 책의 제목을 <피크 저팬>으로 정한 이유를 말해주는데.. 쉽게 말하면 '지금'의 일본사회야말로, "잃을 것이 너무 많으며, 자신들이 서서히 침식되고 있다는 생각에 점차 물들어가면서도 큰 변화에서 오는 불확실성보다는 오늘날 누리고 있는 안락함을 선호하는 사회"라는 것인데.. 그래서 지금이 피크야.. 음.. 왠지 후루이치 노리토시와 같은 20대 사회학자가 썼던 <절망의 나라의 행복한 젊은이들> 같은 모순형용의 패러디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만약 그러한 진단이 진정 옳은 것이라면, 정작 깊이 파고 들어가야 할 지점은 과연 그런 사회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현재를 살아가는 것일까 라는 부분일 것이고, 이는 정말 구체적 현장의 경험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나올 수 있는 이야기들일텐데.. 현재의 국제정치학적 방법론으로는 풀 수 없는 과제인 듯 싶다(그렇다고 국제정치학의 프레임이 무용하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최근 현대 일본에 관한 책들을 읽고 나니 부쩍 일본에 가서 거리를 걷고,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두 눈으로 그들의 삶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로 일본에 못 간지 벌써 만 2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정말.. 백문이 불여일견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