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는 푸른빛이었다 - 인류 최초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의 우주로 가는 길
유리 알렉세예비치 가가린 지음, 김장호.릴리아 바키로바 옮김 / 갈라파고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학교 다닐 때 혹시 몰라서, 그리고 특별히 부전공으로 하고 싶은 것도 없어서 교육학을 선택했다. 어찌어찌 시험을 보고 점수도 잘 나왔지만 지금 기억나는 것이라고는 스푸투니크호라는 말밖에 없다. 나이 많으신 교수님이 열심히 설명을 한 것 같기는 한데 도무지 머리에 들어오진 않았다. 오로지 스푸투니크 이야기를 많이 하셨던 기억이 난다. 당시는 왜 그리 별 것도 아닌 것 같은 로켓이 수업시간에 많이 나올까 의아해했다. 그러다가 나중에야 알았다. 그것은 단순히 로켓이라는 것을 넘어 소련을 대표하는 것이었다는 것을. 그리고 당시의 시대상황에서 미국보다 먼저 인공위성을 쏘아올린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바야흐로 우리도 우주인이 탄생했다고 온 나라가 떠들썩했다. 실질적인 의미는 밖으로 표출된 것보다 훨씬 미약하다고 하지만 어쨌든 상징적인 의미가 큰 것만은 확실하다. 우리는 많은 나라들이 이미 우주인을 배출하고 우주정거장도 새로 지은 상황에서 첫 우주인이 탄생했다고 난리들인데 만약 전 세계적으로 최초의 우주인이라면 어떨까. 유리 가가린을 두고 하는 말이다. 아마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었을 것이라는 점은 짐작하고도 남는다. 그런 유리 가가린의 자서전이 바로 이 책이다.

처음으로 유인 우주선을 타고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가 무사히 돌아온 최초의 인간. 그가 어떻게 우주인으로 선택될 수 있었는지 당시의 심정이 어땠는지를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어린 시절을 간략하게 이야기하고 주로 우주 비행 훈련을 하는 기간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며 특히 우주에 나갔을 때의 기분이나 상황을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마치 들떠서 주위 사람은 아랑곳하지 않고 열심히 이야기하는 듯한 느낌마저 든다. 그만큼 가가린 개인에게 이 사실은 대단한 것이리라. 하긴 그러니 우리의 첫 우주인 이소연 씨도 가가린 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나간다고 하니 가가린이라는 인물이 어느 정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 알 만하다.

한창 미국과 소련이 냉전체제로 대립하던 시기여서인지 가가린은 공산주의의 대단함에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만약 그가 소련이 붕괴되는 장면을 목격했다면 어떤 심정이었을까. 소련이 우주로 유인 우주선을 최초로 쏘아올린 성과를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대변하는데 이용했다는 것을 많은 사진이 보여주고 있다. 우주에서 돌아온 후 가가린은 많은 나라를 돌아다니며 환영행사에 참석했던 것이다. 모든 소련 국민에게 어쩌면 서기장인 후루쇼프보다 인기가 더 많았다는 것을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가가린이 암살되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어찌되었든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진 가가린은 그렇게 되기까지 저절로 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노력하고 또 노력했기에 가능했다. 그래서 그의 위대함을 알기 위해서라기 보다 인간적인 가가린의 면면을 살펴보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 2008-05-12 0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스푸트니크 호, 무지하게 많이 들었었는데~
사진 보고 들었던 생각도 저와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