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줄무늬 바지 보림 창작 그림책
채인선 지음, 이진아 그림 / 보림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는 옷 하나를 여러 명이 물려 입었지만 요즘은 아이를 적게 낳기 때문에 물려 줄 기회가 적다. 자매나 형제처럼 동성이면 그나마 물려 입히기라도 하지만 이성일 경우는 난처하다. 그래도 어렸을 때는 중성적인 옷을 사서 입히던가 그냥 모른 척하고 입힐 수 있지만 아이가 점점 자라서 보는 눈이 생기면 그마저도 쉽지 않다. 우리도 남매라서 어렸을 때는 누나가 입던 내복이며 여자 옷들도 물려 입었지만 커갈수록 그럴 기회는 사라졌다. 이제는 아예 물려 입히기를 포기했다.

그런데 여기 옷 하나를 가지고 무려 네 명의 아이들이 입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것도 값비싼 옷이 아니라 그냥 동대문 시장에서 사 온 평범한 옷이다. 그러나 거기에는 남다른 매력이 있었나보다. 처음에 입었던 해빈이도 그렇고 그 다음에 입는 해수도 그렇고 이 옷만을 입으려고 하니 말이다. 아마도 편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아이들은 뭐니뭐니 해도 편한 것을 제일 좋아하니까... 예쁘게 입히려고 하는 것은 단지 부모의 욕심일 뿐이지, 정작 아이는 별로 반기지 않는다는 것을 아이를 키워 본 부모라면 다 알 것이다.

이렇듯 빨간 줄무늬 바지는 두 남매도 모자라 사촌들에게까지 돌아간다. 그렇게 세월은 흘러 처음에 해빈이가 일곱 살에 빨간 바지를 입었는데 이제는 어른이 되고 결혼까지 해서 아기도 낳았다. 우연히 예전 집에 들렀다가 그 옷을 발견하고는 다시 리폼해서 누군가에게 입힌다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그 누군가는 바로... 인형! 바지는 여러 사람에게 가는 동안 당연히 낡아서 그대로는 입을 수가 없다. 그래서 때로는 축구공 모양 천을 무릎에 덧대기도 하고 끈이 달린 반바지를 만들기도 하고 급기야는 예쁜 발레 옷으로까지 변신을 한다. 아마 그래서 아이들이 더 좋아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자신 만의 옷이니까...

은은한 누런 종이가 마치 재활용한 종이처럼 느껴진다. 그래서일까. 화사한 분홍색을 칠하고 노란색을 칠해도 어딘가 화려하다기 보다 은은한 멋이 느껴지는 것이... 처음 책을 읽기 시작할 때부터 혹시 작가의 경험을 토대로 쓴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읽었다. 다 읽고 작가 소개 부분을 보니 역시나 내 예상이 맞았다. 다만 아직 바지가 작가에게 오지 않았고 해빈이도 그 나이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지. 그러나 작가는 이 책처럼 되기를 희망하고 있지 않을까. 글 작가든 그림 작가든 어려서의 경험이 없다면 결코 나올 수 없는 글과 그림이었을 것이다. 다만 마지막에는 분명 발레복으로 리폼한 상태로 상자 속에 있다가 발견되었는데 발견되었을 때의 그림이 발레복이 아니라는 점이 약간 의아했지만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07-17 23: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채인선 작가의 <시카고에 간 김파리>가 새로 출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