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부대가 지나쳐갈 때 아주 어린 흑인 하나가 몸을 돌려 나와 눈이 마주쳤다. 하지만 그가 내게 보여준 표정은 우리가 예상하는 그런 표정이 아니었다. 적대감이나 경멸을 드러내지도 않았고 시무룩하지도 않았으며 호기심마저 없었다. 눈을 동그랗게 뜬, 수줍은 흑인의 표정이었다. 대단히 깊은 존경이 담긴 표정이었다. 나는 그 이유를 안다. 이 가여운 소년은 프랑스 시민이라는 이유로 숲에서 끌려 나와 군대 주둔지에서 바닥을 문지르고 매독에 걸리면서도 백인 앞에서 정말 존경심을 느낀다. 백인이 그의 주인이라고 배웠고 여전히 그렇게 믿고 있다.
그러나 흑인 부대가 행군하는 모습을 본다면 어느 백인이든(...) 머릿속에 이런 생각이 스쳐간다. ‘우리가 이 사람들을 얼마나 더 속일 수 있을까? 그들이 총구를 반대쪽으로 돌릴 때까지 얼마나 남았을까?’
- <천천히, 스미는>, 147~148쪽, 조지오웰이 쓴 ‘마라케시’에서.
..........
나의 코멘트 :
역사가 말해 준다. 잘못된 것은 언젠가는 바로잡게 되기 마련이라는 것을.
2.
..........
도대체 경로석 같은 것을 만들어야 한다는 발상부터가 웃기는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노인이 서 있으면 젊은이가 양보하는 것이 당연하다. 노인이 힘겹게 서 있어도 경로석이 아니므로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들과 말이 통할 리가 없다.
대중교통에서 모든 좌석은 당연히 경로석이다.
- <기타노 다케시의 생각노트>, 137쪽.
..........
나의 코멘트 :
나의 고정 관념을 깨는 글이다. 난 왜 이런 글을 쓸 생각을 못했을까. 경로석이든 아니든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건 당연한 것을.
3.
..........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다른 것처럼 때로는 자기 자신과도 다르다.
- <장언과 성찰>, 51쪽.
..........
나의 코멘트 :
내가 나답지 않을 때가 있듯이, 당신도 당신답지 않을 때가 있다. 우리는 타인에 대해서만 모르는 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 다만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 안다고 착각할 뿐이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얼마나 이기적인 사람인지 모르고 어떤 사람은 자신이 얼마나 갑질을 하는 사람인지 모른다. 자신이 지금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