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올린 글 <책 이야기>는 고칠 곳이 많아 일단 내렸다. 급하게 쓴 게 문제였다. 그리고 글이 너무 길다. 자르고 고쳐서 다시 올릴 생각이다.(이번 달 안으로 되려나?)
이번 주는 추석 연휴로 바쁠 것 같다. 지방에 2박 3일 가 있어야 한다. 그 전에 친정에 차례 준비를 위해 마음 쓸 게 있다. 친정어머니에게만 맡길 수 없다. 시댁에도 마음 쓸 게 있다. 시어머님, 형님들(시누이들), 동서, 조카들에게 줄 선물을 사러 다녀야 한다. 퇴근길에 몇 가지씩 사야겠다. 벌써부터 마음이 바쁘다.
그래서 이번 주는 바쁠 것 같아 어제 글 한 편 올리고 끝~~~, 그러려고 급하게 올린 글이었다. 어쨌든 그 글에 공감을 눌러 주신 두 분께 그리고 이미 그 글을 본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그 두 분은 제가 다시 글을 올리면 공감을 꼭 눌러 주셔야 합니다. ㅋ)
..........................................
말로만 죄송하다고 하면 안 될 것 같아 요즘 내가 좋아하는 책 <보르헤스의 말>에서 몇 개 뽑아 올립니다.
아르헨티나의 소설가이자 시인인 보르헤스가 한 말입니다.
우리는 승리를 얻을 수도 있고
재앙을 겪을 수도 있지만,
그 두 가지 허깨비를 똑같이 취급해야 해요.(5쪽)
난 의무적인 독서는 잘못된 거라고 생각해요.
의무적인 독서보다는 차라리 의무적인 사랑이나
의무적인 행복에 대해 얘기하는 게 나을 거예요.
우리는 즐거움을 위해 책을 읽어야 해요.(13쪽)
지옥에 관해 말하자면, 난 지옥이 장소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사람들이 지옥을 장소라고 여기는 이유는 단테를 읽었기 때문인 것 같은데, 난 지옥을 상태라고 생각해요.(28쪽)
내 삶은 실수의 백과사전이었어요. 실수의 박물관이었지요.(22쪽)
만약 내가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내 인생의 모든 순간이 시적이라고 느낄 것이며, 주무르고 빚어서 형상을 만들어내야 하는 일종의 점토라고 느낄 거예요. 그러니 내 실수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군요.(23쪽)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윌리스 반스톤, <보르헤스의 말>에서.
(책은 넣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