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딱 한 가지 이유 때문일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글을 쓰는 것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진실을 말하기 위함이라고. 글을 읽는 것은 남이 알고 있는 진실에 귀기울이기 위함이라고.

 

 

저마다 알고 있는 ‘무엇에 대한 진실’이란 게 있다. 진실이라고 알고 있던 것이 시간이 지나고 나면 진실이 아닐 수가 있기도 하겠다. 자신이 잘못 알았다고 깨닫게 될 때가 있기도 하겠다. 하지만 혹시 그릇된 정보로 또는 그릇된 해석으로 진실을 잘못 아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무엇에 대한 진실’을 말하는 일을 멈춰서는 안 된다. 죽을 때까지 알 수 없는 ‘진실’이 있다고 해도 ‘진실 찾기’는 계속되어야 한다. 사는 날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이것은 글을 쓰는 모든 이들에게 하나의 과제가 아닐까. 아니다. 이 땅을 사는 모든 이들에게 하나의 과제가 아닐까. 달리 말한다면 우리 모두는 깊이 생각해야 할 것들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며 옮겨 보는 글이다. 

 

 


세상이 돈을 중심으로 돌아가면 나머지는 쉽사리 하찮아진다. 심지어 인간의 존엄과 생명마저 돈보다 순위에서 밀린다. 돈이 가치 사다리의 꼭대기에서 선 사회가 얼마나 끔찍한 지경에 이를 수 있는지 보여준 것이 바로 세월호 참사가 아닐까. 수명이 다한 중고 선박을 구입해 과도하게 운항한 것이나 규정 이상으로 화물을 적재한 행위 모두 돈에 대한 탐욕이 시킨 일이다. 수백 명 학생에게는 자리를 지키라고 해놓고 자기 몸만 쏙 빠져 나온 선장은 비정규직이었다. 수백의 인명을 책임진 자리에마저 비정규직을 앉힌 경영 논리에는 무엇이 자리 잡고 있을까. 참극이 빚어진 와중에도 해경 간부는 민간 잠수업체에게 돈벌이 기회를 만들어 줄 궁리를 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뉴스를 통해 줄줄이 폭로되는 부정한 유착 고리들에 분노했지만, 그 비정상이 사실상 우리 일상에 만연해 있음을 뼈아프게 자각했다. 그렇게 돈 중심의 사회가 꽃다운 학생 수백 명을 희생시켰다.(68~69쪽)
- 박세길,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에서.

 

 

 


1983년 KBS에서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전개했다. 이 프로그램은 단일 주제로 무려 138일 총 435시간 동안 생방송으로 진행되어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수많은 이산가족이 출연해 사연을 호소했고 온 국민이 지켜보면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당시 그 기막힌 사연들을 TV로 지켜보던 나는 어떤 의문을 떠올렸다. 흔히 이산가족이라면 남북이 가로막혀 발생한 경우를 떠올린다. 그런데 당시 KBS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산가족은 대부분 남한 땅에서 헤어진 경우였다. 남북 사이에 발생한 이산가족은 그 프로그램에 출연할 이유가 없었다. 북한 땅에 있는 이산가족이 방송을 보고 만나러 올 리는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전쟁 시기라지만 남한에 살던 주민들 사이에서 왜 그토록 많은 이산가족이 생겼던 걸까. 이 의문은 한국 전쟁사를 공부하면서 풀렸다. 결국 남한 이산가족의 대부분은 미 공군기의 무차별 폭격이 만든 ‘난리통’에 생긴 것이다.(145~146쪽)
- 박세길,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에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개 2015-07-09 0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바구니에 담아 놓은 책인데 페크님은 벌써 시작하셨군요.^^

페크pek0501 2015-07-09 13:01   좋아요 0 | URL
아무개 님, 오랜만입니다.
제가 원래 남들이 다 읽고 리뷰를 다 올리고 나서 책을 구입하는,
뒷북치는 스타일인데, 이번엔 빨랐아요. 신문에서 신간 소개를 보자마자
이건 사야돼, 하면서 바로 구입했어요. 아마 제가 이 책에 대한 첫 글을 쓴 듯요. 이 책 살 때 리뷰도 백자평도 없더라고요.

괜찮은 책입니다. 아직 다 읽지 못했으니 아마 님이 구입해서 읽으면 저보다 빨리 읽으실 듯요. 저는 이달 안으로 다 읽는 것이 목표일 뿐이에요. 다른 책과 함께 읽고 있어요.

첫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좋은 여름 보내시길...^^

stella.K 2015-07-09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이런 책이 있었군요!

맞아요. 저도 한국이 조그만 땅덩어리라고 하고 그중 남한이 반인데
어떻게 30년 가까이 못 만나고 있었을까 의문이 가더군요.
그런데 언니 글을 읽으니 새롭게 알았네요.

저는 요즘 <생각 수업>이란 책을 읽고 있는데 장하성 편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경제구조는
생각 보다 심각하구나 싶어요.
그래서 선장도 일견 피해자일 수도 있는데 참 안타까운 일이죠,
아, 정말 우리나라는....ㅠㅠ

페크pek0501 2015-07-09 16:30   좋아요 0 | URL
잘 지냈나요?

딱딱할 것 같지만 술술 읽히는 장점이 있는 책이에요. 사라져가는 것들, 잊게 될지 모를 일들, 왜곡된 또는 은폐된 진실에 관한 것들. 이런 것들에 대한 글은 언제나 관심이 갑니다. 열한 가지 질문으로 이루어진 글이 마치 열한 권의 책을 읽듯 풍성한 느낌을 줍니다.

<생각 수업>을 읽고 계셨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