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칼럼>


두 갈림길 - 부제 : 앗! 할말없음


내년이면 큰딸이 고등학교를 졸업한다. 게다가 올해 둘째 딸아이마저 중학생이 되었다. 조그맣다고 꼬마 취급을 해 온 막내인데, 요즘 부쩍 커서 키가 나와 비슷해진 딸의 모습에 조금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딸들의 성장이 기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쓸쓸한 감회에 잠기게 된다. 딸들이 커갈수록 나는 그만큼 나이를 먹는 것이니 머지않을 나의 노년기를 예감하게 되어서일까.


문득 친정어머니가 떠올랐다. 그 옛날 어머니도 나의 성장에 흐뭇하면서도 당신은 조금씩 인생의 무대 뒤로 사라지는 듯한 쓸쓸한 기분이 들었으리라. 그러면서도 지금의 나처럼 딸의 성장을 진심으로 축하해 주고도 싶었으리라.


딸들이 ‘뜨는 해’라면 나는 ‘지는 해’가 되는 셈이다. 거울을 볼 적마다 나의 ‘늙음’이 느껴져 우울해지기도 하는데, 이것이 어머니답지 못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아이들의 성장과 나의 늙음으로 기쁨과 슬픔의 갈림길에 놓인 것만 같다.



그 갈림길에서 요즘 갖게 되는 화두가 있다. 어떤 어머니가 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학식이 풍부하기보다 지혜롭고 바람직한 어머니가 되고 싶은데 도무지 자신이 없다. 자식을 키우면서 올바른 생각을 모색해야 할 때마다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우선 딸의 이성 문제만 해도 그렇다.



어느 날 둘째아이가 이성에 대해 관심이 있다는 듯 눈을 반짝거리며 남자친구를 사귀어도 되느냐고 물었다. 남녀 공학 교실에서 자유롭게 공부하는 아이는 사고방식 또한 나보다 훨씬 개방적이다. 평소 나는 그것을 염려하던 터라 처음엔 이성 교제에 대한 반대의사를 분명히 표했다. 왠지 남자친구를 만나러 다니면 성적이 떨어지고 나쁜 방향으로 빠질 것만 같아서였다. 이성 교제를 반대하고 나서 육체적 순결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혼전에 순결을 잃는 것은 부도덕하다는 것, 남자들은 순결한 여자와 결혼하고 싶어 한다는 것, 결혼한 뒤에도 여자의 과거사로 인해 결혼생활이 불행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는 것 등을 들려주었다.


순결을 너무 강조하다보니 다른 걱정이 뒤따랐다. 만에 하나, 딸이 어떤 이유로 순결을 잃는 경우가 생기면 그때는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순결의 상실로 인해 지나친 열등감으로 괴로워하거나 어떤 죄의식에 시달릴지도 모를 일이다. 딸이 성인이 되어 진실로 사랑하는 연인과 육체적 관계를 가지고 나서 그 상대방과 이별할 수도 있고 또 어떤 잘못으로 순결을 지키지 못할 경우도 있을 터였다. 그렇게 되면 그땐 정말 난감한 일이다. 실제로 성추행을 당하여 자살하는 여성도 있지 않은가. 이것은 순결 교육의 부작용일 것이다.


이런 생각에 이르자 나는 태도를 바꾸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순결이 생명을 버릴 만큼 소중한 것은 아니라고 힘주어 말하였다. 순결을 강조할수록 그것을 지켜내지 못해 생기는 심적 고통을 극복할 힘이 약해진다는 것을 깨달았던 것.



요즘 혼전에 동거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아마도 딸들이 결혼 적령기에 있을 쯤이면 동거문화가 더 확산될 것이다. 신문을 통해, 이미 프랑스에서는 동거가 결혼에 버금갈 정도로 제도화하여 있으며, 우리나라도 머지않아 그렇게 될 것이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요즘 아이들이 자유롭고 분방하게 크는지라 순결성이 사라지는 시대가 올 거라는 말도 있다.


이에 따라 성에 대한 우리 기성세대들의 의식이 변해야 한다고들 한다. 성에 대해 보수적인 부모는 그렇지 못한 젊은 세대와 큰 충돌이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딸의 책가방에 피임약을 넣어 주어야 하는 시대가 올 거라는 충격적인 목소리도 들려온다. 순결을 못 지킬 바엔 여식이 불행하게 미혼모가 되는 것은 최소한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얘기를 처음 들었을 땐 말도 안 되는 소리로만 여겼는데 지금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미래를 대비하여 어머니로서 마음가짐을 달리 해야 할 것 같다.


이번엔 친구 문제에 대해서도 마음가짐을 달리 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 언젠가 둘째아이가 친구 둘을 데리고 집에 왔다. 전화도 자주 하는 친구들인 걸로 보아 딸과 친한 아이들 같았다. 엄마로서 나는 그 애들이 공부 잘 하는 아이들이길 바랐다. 그런 애들을 닮아서 딸애도 공부를 열심히 했으면 싶었다. 그 애들이 가고 나서 궁금하여 딸에게 물었다. 걔들은 공부 잘 하니?, 반에서 몇 등 하니? 하고 물은 것이다. 다음 순간 성적만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태도는 잘못이라는 생각이 스쳤다. 그리고 옛일이 기억났고 부끄러워졌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 때였던 것 같다. 한 친구집에 놀러 갔는데 친구의 어머니가 내게 성적을 물으셨다. 내가 대답을 못하고 머뭇거리자 그 친구에게 다짐을 받기라도 하듯 말하였다. 그것은 ‘공부 잘 하는 애와 놀아야 너도 잘 하게 된다’는 뜻의 말이었다. 어린 마음에도 그런 어머니가 좋게 보이지 않았는데, 오늘날 내가 바로 그런 어머니가 된 것이다.(앗! 할말없음, 첫 번째)


내 물음에 딸아이가 대답하였다.


“다 나보다 공부 잘 하는 애들이야, 근데 내가 공부 못하니깐 걔네들 엄마가 나를 싫어할지도 몰라.”

“…….”(앗! 할말없음, 두 번째)


딸의 친구 중에 어두운 얼굴을 하고 있는 아이가 있다. 그 애에 대해 가정환경이 어떠한지 자세히 묻기도 한다. 혹시 그 어두운 면이 내 딸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까봐 그것만을 염려하는 것이다. 밝은 애를 사귀면 좋겠다고 말하는 내게 이번엔 딸이 묻는다.


“엄마, 그럼 걔는 누구와 사귀어야 돼?”

“…….”(앗! 할말없음, 세 번째)


자식에게 이웃과 더불어 살아야 한다고 말해야 옳은데, 나는 개인의 이득만을 중시하라는 뜻을 은연중에 전했던 것이다. 모든 어머니들이 자기 자식만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가진다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 난 딸들이 정이 넘치는 따뜻한 사회에서 살기를 바라지 않았던가.



어머니로서 나는 두 가지의 갈림길을 자주 만난다. 과거에도 만났고 앞으로도 수없이 갈림길 앞에 있게 될 것이다. 기혼 여성이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힘든 만큼이나 좋은 어머니가 되기도 어려운 것 같다.<끝>


........................................................................................

<후기>

나는 내가 꽤 ‘괜찮은 엄마’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그건 착각이었다. 이렇게 인간은 착각을 하며 사는 불완전한 존재이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지금에라도 ‘진실’을 알았다는 것이다. 끝까지 ‘진실’을 모르고 산다는 것은 얼마나 끔찍한 일인가.


그런데 또 알아야 할 것은, 어느 부분에선 나도 끝까지 모르는 ‘진실’이 있으리라는 것이다.


이 글을 쓰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친정어머니에 대해서, 딸에 대해서,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서, 좋은 어머니에 대해서, 늙음에 대해서, 딸의 친구에 대해서, 개인이기주의에 대해서, 이성 교제에 대해서, 순결에 대해서, 피임약에 대해서, 동거문화에 대해서,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해서, 그리고 갈림길에 대해서….


이렇게 생각에 골몰할 수 있는 게 ‘글쓰기’의 좋은 점일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지해♥ 2009-05-12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선생님~저지해예요^^
학교컴퓨터시간끝나고시간이남아서블로그들렷어요~
앞으로도자주들릴게요~

페크pek0501 2009-05-12 17:56   좋아요 0 | URL
반가워 지해야. 논술수업한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 어엿한 대학교 2학년생이라니...시간 빠르다. 대학생활은 재밌겠지? 내가 보낸 이메일로 보면 블로그의 화면이 작을테니 블로그의 주소를 복사 붙이기 이용해서 다음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큰 화면으로 보도록 해. 즐겨찾기 해 놓으면 편할 거야. 또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