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지역과 같은 정신을 가진 분의 책을 읽었다고 생각했다.
정채봉, <그대 뒷모습>
(176쪽) 문제는 처음에는 남보다 더 좀 나아져 보려고 시작한 달리기가 지금은 자신이 왜 이렇게 달려야 하는지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남이 달리니까 나도 달린다는 데 있다(어떤 면에서는 저승까지도). 더 빨리 가기 위해 신호가 풀리기 수초 전에 자동차의 액셀러레이터에 발을 올려놓는 사람들로 꽉 차버린 우리 현실.
(176~177쪽) 이탈리아가 한창 기계 문명과 산업화 열병에 휩쓸려서 정신이 없었을 적에 이런 칸초네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조용히 번졌었다고 한다.
뛰지 마, 그러면 너는 볼 수 있을 거야. 네 주위의 많은 아름다운 것들을. 꽃 속에 사랑이 가득한 세계가 있는 걸 모르니? 뛰지 마, 그러면 너는 찾을 수 있어. 길가 돌 틈의 너만을 위한 다이아몬드를. 멈추어 서면 알 수 있을 거야. 너는 많이 뛰었지만 항시 그 자린 것을.
(177쪽) 그렇다. 앞뒤를 살펴볼 겨를도 없이 소유와 안락을 향해 "바쁘다, 바빠"를 외치며 달려온 우리가 이제부터 뇌어야 할 것은 "천천히, 천천히"이다.
(181쪽) 컴퓨터에 의해 인류는 진보했지만 행복이 가까워진 것은 아니다. 인터넷에 의해 정보는 엄청나게 빨라졌지만 그렇다고 행복이 1분 안에 화면에 떠올라 온 것은 아니다. 어쩌면 컴퓨터와 인터넷에 의해 더욱 통제되고 더욱 바빠야 하는 노예로 전락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당신은 생각해 보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