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없는 사람들의 미국사


(A Different Mirror For Young People)

로널드 다카키 지음 | 레베카 스테포프 엮음 | [갈라파고스] | (2021)

 



이민자의 관점에서 역사 새로 쓰기

 



노파심인지도 모르겠지만, 소위 빅 히스토리라는 관점이 유행하는 현상을 다소 우려하면서 바라보는 이유가 있다. ‘빅 히스토리관점에서는 우주의 역사나 지구의 역사, 혹은 각 나라의 역사에 관한 서술을 하나의 거대한 시간성 속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흐름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까지 우려하거나 문제될만한 것은 없어 보인다. 내가 우려하는 부분은 이런 관점이 여러 중요한 역사적 사건의 의미와 배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판단에 접하게 되는 경우다. 독자가 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때 인간에 대한 관심이 희석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 결국 나만의 노파심일까.


 

예를 들면 미국은 북미 원주민이 살던 땅에 유럽인이 유입되어 형성된 이민자들의 나라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미국 역사를 설명할 때 일반화된 핵심 개념과 설명만으로는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현실이 은폐되기 쉬울 것이란 생각이다. 이런 문제는 이미 많은 역사학자들이 부지런히 고민하고 기록을 남기고 있을 것이므로 나만의 노파심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유행처럼 느껴지는 빅 히스토리의 관점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일도 새로운 문제를 낳을 수 있다. 자칫하면 역사적 설명뒤에 정작 사람이 가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니면 내가 독자들의 지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일까.


 

에르난도 코르테스는 1519년에 16명의 기병과 600명의 보병을 이끌고 멕시코 해안에 상륙했다. 그가 다녀간 후 50년 만에 멕시코 중부 지역의 아메리카 원주민수가 3000만 명에서 300만 명으로 감소했다고 한다. 물론 이것은 천연두와 같이 유럽에서 들어온 질병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을 테지만, 그렇다고 아즈텍 문명을 몰락하게 만든 유럽인들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는 16세기 멕시코 지역의 역사를 ‘16세기에 멕시코 중부 지역의 인구가 유럽인의 유입과 질병으로 90% 감소했다라고 간결하게 정리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기술만을 역사책에서 접했을 때, 후대의 독자들은 과거의 선조들이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떤 고통을 겪었는지, 그리고 우리는 이로부터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는지 생각을 이끌어내기란 쉽지 않다. 인간의 역사가 인구, 그리고 숫자로만 기록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닐까. 역사책을 읽을 때 직관적이고 깔끔하게 정리된 빅 히스토리책들을 보면 내가 이따금씩 우려감을 느끼는 이유다.


 

역사에 없는 사람들의 미국사는 이런 개인적인 우려를 상당히 불식시켜주는 책이다. 미국 역사학자 하워드 진의 미국 민중사에서 주목하고자 했던 노력들의 계보를 잇는 책이 아닐까 싶다. 하워드 진은 이 유명한 미국사의 첫 장부터 아메리카 원주민의 수난사로 시작했다. 그의 저술을 처음 접했을 때, 신선하고 놀랐던 기억이 난다. 하워드 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공군에 복무하면서 폭격기에 올라 폭탄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했다. 그런 그가 자신의 책에서 내가 무슨 일을 했던가를 솔직하게 고백했던 부분도 기억난다. 한 사람도 보이지 않는 높은 상공에서 무감각하게 폭탄을 떨어뜨렸던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고, 폭격 받은 도시 현장을 지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가 받았을 충격을 상상해본다. 내게는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만 역사를 바라보는 경우는 폭격기에서 무심히 풍경을 바라보는 폭격수의 입장과 비슷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로널드 다카키가 쓰고, 이를 논픽션 작가 레페카 스테포프가 청소년용으로 다듬고 엮은 이 책은 폭격을 받은 현장을 지상에서 바라보는 일이 될 것이다. 내가 이 책에 특히 주목하게 된 이유다.


파도가 좋아 서퍼가 되려 했던청년 다카키는 하와이로 이주한 일본인 후손의 3세대다. 그의 할아버지는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했던 노동자였다. 저자가 살았던 마을은 일본인을 비롯하여 한국, 중국, 포르투갈, 하와이 혈통의 노동자들이 모인 다문화 공동체였다. 특히 그가 저술한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From the Land of Morning Calm다른 해변에서 온 이방인들 Strangers from a Different Shore(1998)은 구한말부터 시작된 한인 이주의 역사를 조명한 책이라고 한다. 언젠가는 이 책들도 국내에 소개되지 않을까한다. 이 책을 엮은 레베카 스테포프 역시 인문분야의 논픽션 도서들을 선보인 작가다. 특히 청소년을 위해 하워드 진, 제레드 다이아몬드, 다윈, 찰스 만의 저서들을 편집하여 새롭게 발표한 시리즈로도 잘 알려져 있다.


 

역자의 설명에 따르면 원저자 다카키 교수가 평생 붙들었던 관심사는 이민자들의 관점에서 역사를 새로 쓰는 일이었다. 이번에 출간된 역사에 없는 사람들의 미국사에서는 저자의 그런 의도가 개별 인구 집단에 적용되었다. 아메리카 원주민, 흑인 노예의 삶, 아일랜드인들의 이민, 중국인들의 역사, 러시아를 탈출하여 미국에 정착한 유대인들 등에 관해 서술되어 있다. 허먼 멜빌의 장편소설 모비 딕(1851)에 등장하는 포경선 피쿼드호가 백인들에 의해 멸종한 원주민 부족의 이름인 것, 그리고 이 배에 10여 개국에서 온 선원들이 있던 설정은 미국이 어떤 나라인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소설은 한 국가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미국의 족보이기도 하다. 이처럼 미국은 다양한 국적의 이민자들이 유입되어 이루어졌다. 미국인들은 각자 자신에게 익숙했던 영역의 경계를 넘어온 이들이었다. 미국이야말로 다양한 경계인들의 나라였다. 하지만 백인 남성 위주의 성채를 세우고 이를 지키려고 했던 행보는 미국 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분열과 충돌의 씨앗을 심어놓았다. 2021년에 백인 인구가 사상 최초로 감소하고 있다는 <월스트리트 저널>의 기사는 이 백인들의 우려와 불안감을 투명하고 절박하게 비춰주는 듯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멕시코 국경의 담장을 높이려 했던 시도 역시 그런 백인들의 두려움을 짐작해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최근의 뉴스보도에 근거한 역자의 설명 따르면, 국내 전체 학생 중에서 한명 이상의 외국계 혈통 부모를 가진 다문화 가정의 학생이 3% 넘게 차지한다. 비록 전 세계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이동이 제한적이긴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비율은 당분간 줄어들 것 같지 않다. 우리나라의 인구 구성도 지속적으로 다양화될 것이라는 말이다.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둘 때, 다카키 교수가 서문에서 밝힌 말이 인상적이었다. “우리는 개별 집단의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 이것들이 모두 모여 세계 시민국가의 이야기가 되기 때문이다.”(11) 대한민국도 결국 현대사를 새로 써야 하지 않을까싶다. 각 다문화가정의 후손들 역시 언젠간 자신이 속한 역사를 새롭게 써야하고, 누군가는 결국 다시 쓰게 될 것이다. 이 책을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점차 다양해지는 집단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현대사가 다시 새롭게 기술되어야 할 이유를 생각하게 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이 2022-01-14 01:1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 초란공님 미국사 시작하시는 건가요?!

초란공 2022-01-14 01:24   좋아요 2 | URL
아주 느리게 읽을 듯합니다^^;; 이 책은 특히 흥미롭네요. 미국에서는 아주 소수파에 속했던 역사학자인 듯 하고요. 지금은 돌아가신 듯하여 아쉽네요.

mini74 2022-01-14 16: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미국 민중사가 있군요. 좋은 책 소개 고맙습니다 ~

stella.K 2022-01-14 21: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초란공님도 벽돌책을 좋아하시는군요.
저 하워드 진은 읽어보고 싶은데
아마 평생 못 읽지 싶어요.ㅠㅋ

2022-01-16 18: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1-16 18:2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