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랄라랜드로 간다 - 제10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54
김영리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10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 나는 랄라랜드로 간다

 

청소년문학을 만날때마다  느끼게 되는건 너무나 빡빡한 교육 현실이다.

꿈을 있는 아이든, 꿈이 없는 아이든 앞으로 헤쳐나아가야할 세상이 너무나 버겁다라는 뉘앙스를 풍기곤 하니까 ~~

제10회 푸른문학상 수상작인 나는 랄라랜드로 간다 라는 책도 그러한 아이들의 현실을 말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이 조금은 그렇게 어두운 현실일망정 어깨를 짓누르고 있는 무거운 현실을 유쾌하게 풀어내며 긍정의 힘을  전해준다 

 

새로운 작가가 새로운 감각으로 만들어간 공감가는 현실 속 차별화된 이야기이구나 싶다

 

 


 

 

여기에서 본 내용을 함부로 말하고 다닐 시에는 뭘 먹든 바퀴벌레를 씹는 것 같아서 먹는 족족 고질라처럼 토하고.....

이렇게 시작하는 경고문은 17살의 기면증 환자 안용하의 일기장 앞면에 붙어있는 무시무시한 글인데 그마저도 유머러스하다.

 

부모님이 보증을 잘못써  어린나이에 가족 모두가 뿔뿔히 흩어져 살아야만 했던 옛과거를 청산하고 이젠 엄마 아빠와 용하까지 달랑 3가족은 한 지붕아래에서 살게되었다. 하지만 한창 예민한시기인 중학교 3년을 좁디좁은 고시방에서 혼자 지내야만 했던 용하는 고등학생이 되어 함께 살게된 가족이 부자연스럽기만하다. 이모할머니가 돌아가시며 물려준 게스트하우스가 내 집이 아닌 마치 손님이 된듯한 느낌이랄까

 

그런 용하에겐 커다란 비밀이 하나있다.  엄마도 모르고 아빠도 모르고 장기투숙객인 망할고 할아버지만 눈치챈 기면증이다. 고시촌에 홀로 살던 엄청난 중앙갑으로 부터 생겨난 병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잠이 들어버린다. 그럴때면 얼굴이 주체할수 없이 일그러지면서 기묘한 형태를 만들어내곤 하기에  미리 잠들어버리는 노하우까지 터득해버렸다.

 

하지만 그러한 병을 지닌 채 학교생활을 하는것은 그리 녹록치가 않다. 성적이 바닥인 것은 물론이요, 선생님들의 배려를 악으로 이용하는  나쁜  친구들의 괴롭힘이 따라붙은것이다.

랄라랜드는 기면증을 앓고있는 용하가 그런 친구들로부터 벗어나기위해 궁여지책으로 만들어낸 가상세계였다. 그리고 또 한명 랄라랜드를 궁금해하는 특이한 아이 나은새가 있다.

 

 

 

 

 

거기에  뒤늦게 나타난 이모할머니의 아들 피터 최는 게스트하우스의 주인은 자신이라 주장하고 나오니 온가족이 길바닥에 나앉을 위기에 직면한다.

또한 떨어져 있었던 시간만큼이나 어색한 가족은 함께 있어도 자연스럽지가 못했으니 용하는 자신의 병세를 숨기기에 급급하다. 하지만 세상은 나쁜 사람이 있는가하면 좋은 사람도 있는 법이고, 나쁘다고 끝까지 나쁘지는 않은 법 용하네 가족이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린 누군가가 먼저 마음을 열면 상대방도 마음을 열어주고 있음을 보게된다.

 

 

 

 

 

누군가는 꿈이 있어 문제가 되고, 누군가는 꿈이 없어 문제가 되는 아이들의 현실엔 어른들의 잘못된 몫도 분명이 있었다. 무조건적인 강요와 사회의 잣대를 들이대며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무엇을 해 주어야 하는지를 무시해버리고 있었으니까 !

이것이 나의 현실이라 생각하면 너무나 아득한 상황이었는데 김영리 작가는 그 현실을 좀더 여유롭게 풀어주고 있었으니 현실이 팍팍하더라도 한박자 쉬며 조금의 여유를 가져보라는 메시지로 들려온다.

 

나는 랄라랜드로 간다. 아마도 그 랄라랜드는 새로운 꿈에 대한 도전, 나의 미래를 찾아가는 관문이어던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