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물 소리
황석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황석영 필생의 문학적 화두, 여울물 소리

 

 

등단 50년 최고 이야기꾼 황석영이 선택한 이야기소재는 이야기란 무엇인가, 어떤것이 남고 어떤것이 사라지나 격동의 19세기 아픈 역사를 배경으로 한 한 소리꾼의 이야기

우리의 소리에서 혼을 찾아가는 이야기 였다~~~

 

 
 

 

 

 

아픈 역사속에서 진솔한 삶, 강단있는 삶을 살았단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길엔 우리민족이 걸어온  세상이 보인다. 문학속에서 그것을 만나게 해주는 작가님들이 몇분 계시는데 그 중에 한분이 황석영 작가님이다. 풍요러웠기 보단 가난했고, 비굴하기보단  용감했으며, 부끄럽기 보다는 떳떳했던 삶속에서 민족의 자부심을 일깨운다. 그 주인공은 왕도 귀족도 아닌, 지극히 평범한 일개 민초이기에 더욱 가슴에 와닿고 민족성을 자극한다.

 

여울물소리는 올해로 등단 50주년을 맞이하는 그러한  대 작가가가 쓰고 싶었던 이야기란다. 이야기꾼이 쓰는 이야기꾼 이야기 말이다

 

세도정치와 삼정문란으로 이씨 조선의 봉건왕조가 붕괴된 전환기에 민중들은 동학이라는  자생적 근대화과정을 꾀하지만 자신의 세만을 생각하던 권력가와 제국주의 외세의 개입으로 처절하게 짓밟혀진다.  

 

황석영 작가는 여울물소리라는 이야기에서  그 시절의 아픔을 지금까지 남겨진 수백종의 언패소설과 판소리대본,  민담, 민요등에서 찾아내어  한 이야기꾼의 삶을 빌어서는  또 한 사람의 화자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그 두명은 이야기를 맛깔나게 풀언어내는 소리꾼 전기수요 천지도(동학) 인인  이신통과 그를 사랑하기에 기구한 삶을 선택한 여인 연옥이다.

 

“내 이름은 연옥이고 다리목 객주의 주인이다.” 

" 신통은 언약하고 갔건만 그해 세밑에 돌아오지 않았다.”  



 



지금의 의미와는 많이 달랐던 조선의 기생을 어미로 둔 연옥이 이신통과 처음 조우하게 된 곳은  어머니의 술청 어머니의 소리와 그녀의 소리, 그리고 이신통과 패랭이를 갖춘 소리꾼이 만들어낸 장터 소리의 만남이었다. 또한 그건 술청과 장터가 만들어낸 인연으로 그녀가 찾아가는 이신통의 행적에서 알아가는 19세기 우리 민족의 삶이기도 했

 

 

 

 

내 마음 정한 곳은 당신뿐이니, 세상 끝에 가도 돌아올것이요. 라는 말을 남기고 떠난 이신통은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연옥은 그러한 이신통을 방방곡곡 찾아나선다. 그렇다면 이신통이 향한곳은 어디였던 것일까 ?

 

갈까 보다 임 가신 데로 후살이 갈까 보다 미투리신짝을 타달탈 끌면서 임을 따라 갈까보다

어찌 살까나 정든 임 그리워 임이 괄시하더라도 불원천리 갈까 보다 아무래도 임을 위하여 병이 나리외다.

 

둥불이 물 위에 빛나니 온 세상을 밝힐 것이요 기둥이 제법 말랐으니 떠받치는 힘 넉넉하리

 

그렇게 두 남녀의 마음은 갈리었다.   

작가는 어떠한 언약도 없이 하룻밤의 풋사랑으로 시작된 여인의 마음을 빌어 한 남자가 걸어간 아픈 시대를 이야기한다. 거기엔 서출이라는 출신성분과  명성황후와 대원군의 세력다툼 , 그 속에서 피어난  민중의 근대화와, 일본과 청의 외세침략으로 무너져가던 19세기 근대화과정의 조선이 있었다.

 

하지만 그 이야기의 주인공은 천지도의 교주도 아니고, 대원군과 명성황후도 아니며 일본도 청국도 아니었다. 그저 세상이 바뀌리란 순수한 마음으로 내가 할 수 있는 길을 향해 걸어가고 있던 민초들이었다.

거기에 더불어지는것이 있다면 그 이야기를 제대로 대변해주고 있던 흥과 슬픔을 대변해준 우리의 소리뿐 ~

 

 

눈 감고 있을 때에는 바로 귓가에서 들려오다가 눈을 뜨면 멀찍이 물러가서 아주 작아졌다. ...

여울물 소리를 속삭이고 이야기하며 울고 흐느끼다 또는 외치고 깔깔대고 자지러졌다가 다시 어디선가는

나직하게 노래하면서 흐르고 또 흘러갔다 p488

 

과거 우리의 역사를 우리민족의 삶을 이야기의 형식을 빌어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시나브로 적셔주는것 그것이 바로 여울물로 , 문학의 힘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