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는 사춘기
김영훈 지음, 이영애 감수 / 시드페이퍼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요즘 아이들은 뭐든지 빨라졌습니다. 공부하는 시기도, 사춘기도,

전자가  사회적 분위기에 바탕을 둔 채 부모가 만든 상황이라면 후자는 부모를 당황스럽게 만들지요. 헌데 정작 가장 힘들고 당황스러운것은 아이들 자신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실까요?

 

우리집 아이들은 이제 막 중학생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한 고비를 넘겼다 싶지요. 헌데  5학년 즈음부터 시작된 변화를 감당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진행중이구요.

 

 

 

 

요즘은  부모도 아이들도 아직 준비가 안되었는데  몸은 훌쩍 자라 사춘기가 급히 찾아옵니다.

벌써, 라고 인지했을때는 이미 몇번의 당황스러움을 겪지 않았었나 싶습니다.

 

그렇게 빨라진 사춘기를 대비할 수 있는 책, EBS 60분 부모 김영훈 박사님의 부모컨설팅,   

시드페이퍼의 '빨라지는 사춘기' 입니다. 

 

성조숙중, 게임중독, 공부,  사춘기 아이와 부모를 괴롭히는 3대 고민을 해결해 줍니다

 

사춘기의 시작은 신체에 변화와 함께  감정의 기복으로 찾아오지요. 얼마전까지만 해도 마냥 착하기만 했던 아이가 어느날 갑자기 반항이 시작되면. 왜 그럴까 . 무슨 일이 있는걸까. 걱정스럽다가는 부모도 함께 짜증이 밀려옵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전,  부모 자식간의 갈등이 시작되는 거지요.

빨라지는 사춘기는 그렇게 내 아이에게 찾아온 사춘기의 특징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까지두요.

 

항상 껌딱지 처럼 붙어다니던 아이가, 이젠 혼자있는 것을 좋아하고, 엄마보단 친구가 더 좋다하고,  뽀뽀 한번 하려하면 기겁을 하는가하면 수시로 짜증을 부리기 일수입니다. 거기에 신체의 2차 성징까지 나타나구요.

 

 

 

 

그러한 변화들은 아이에 따라 다르지만  지금까지의 상황들을 모두 바꾸어 놓기도 합니다.

 친구관계, 성적의 변화, 가족에 대한 감정등, 사춘기는 그렇게 시나브로 찾아와서는 쓰나미처럼 훓고 간다 할까요 .

 

거기에서 부모가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부모의 사춘기 시절과 비교해서는 안된다는 것.

신체발달이 빨라진것과 함께 가정의 형태 친구의 형태 놀이의 형태등 모든것이 변화했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또 하나 사춘기 아이의 두뇌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만 3세 이후부터 어떤 환경에서 어떤 자극과 정보를 받아들이며 성장하는가에 달려있다라고도 합니다.

 

다양한 체험활동과 대인관계등 두뇌발달에 꼭 필요한 교육적 자극을 받았다라면 사춘기가 좀 더 수월하다라구요.

 

 

 

 

힘든 현실을 기피 가상세계에서 쾌락을 찾기위해 컴퓨터 게임속에 빠져들고, 성적 호기심 또한 무조건 누르기만하면 어둠 속으로 가두어 버리는 것이구요.  그렇게 아이들의 민감한 성장기, 사춘기의 배경과 지금 현재의 상태, 신체적으로 감성적으로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등 사춘기의 모든것들에 대한 컨설팅이 이 책속에 있었습니다.

 

그 시기 가장 중요하게 챙겨봐야할 것은 친구관계에 있어서의 문제와 성적일텐데요.

그 또한 아주 구체적으로 상세한 컨설팅을 해주고 있었지요.  호기심이 많은 이성우뇌형 아이는 맛뵈기 예습을 중심으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오래 앉아 있는 것이 힘들므로 공부할 양도 하루에 두 세번으로 나누어야 한답니다. 그렇게 감정이 풍부한 감성우뇌형아이,자기주장이 강한 감성좌뇌형 아이등 두뇌성격에 맞는 공부법을 제시하고 있기도 합니다.

 

 

 

 

방문을 걸어잠그기 시작했어요. 엄마 지갑에서 몰래 돈을 훔쳐요. 학원을 몰래 빠지는 일이 잦아요. 외모에 지나치게 신경을 써요 등 성장기 아이를 가진 부모라면 모두가 한번쯤 고민해봤음직한 문제 20가지를 토대로 한 사춘기 문제행동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 또한 들려줍니다.

 

한동안 인기있었던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대체 왜 저런 모습을 보이는걸까 ? 경악을 하다가 부모의 변화로 인해 자연스레 순화되고 있는 아이를보면서 그래 부모가 문제였어 라는 생각이 절로 들지요.

 

사춘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이 또한 자신의 변화에 두려워하며 부모와 소통하고 싶어하고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길 바란다는 사실요. 성급한 결론보단, 직접적인 해결책보다는 자신의 상태를 이해해 주는 것

그리고 함께 노력해 가길 바란다는 것두요.

 

 

 

 

 

일찍 찾아온 사춘기로 혼랍스럽다면 새롭게 태어나는 사춘기의 뇌에 주목하라 !

자녀고민 해결서 빨라지는 사춘기안에 그 해답이  부모가 현명해지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