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비, 한옥을 짓다 - 옛날 주생활로 본 우리 역사 처음읽는 역사동화 3
세계로 지음, 이우창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선비 한옥을 짓다 / 아이세움 처음읽는 역사동화 /

독후 활동 우리전통가옥 한옥에 대해 알아보아요

 

우리의 옛것에 대해 재미있게 알아가는 아이세움의 처음읽는 역사동화 세번째 이야기는 전통가옥 한옥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장원급제한 이선비를 따라가며 궁궐과  양반가옥을 살펴가며 한옥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가있었는데  살아갈수록,  접해갈수록 참 멋진 집이다 싶어 언젠가는 꼭 살고 싶은 집이기도 한데 이번 기회에 아이들과 함께 그 한옥의 가치에 대해 제대로 공부를 할수가 있었답니다.

 

 

 

 

장원급제한 이선비 이세로가 드디어 궁궐에 입권을 했습니다.   앞으로 그가 일하게 될 곳은 공조였으니 그곳은 굴궐을 짓거나 고치는 일을 하는 곳이었습니다. 그에게 맡겨진 첫 임무는 세자의 전각을 지을 대대목 신씨를 데려오는 일로 처음 만만하게 생각했던 것과 달리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며 전국을 떠돌아 다니는 신씨를 만나는 것 조차 요원하지가 않습니다.

 

 

 

과연 이선비는 그러한 난관을 극복하고 세자 저하의 전각을 짓는 일을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요 ?

제주도에서  보았다 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강원도 산골에서  강화도까지 행적이 묘연한 대목 신씨를 찾아  좌충우돌 활약을 펼치는 이선비를 쫓아 다니다보면 아이들은 어느새 우리의 전통가옥인 한옥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게됩니다.

 

조선시대엔 가장 중심이 되는 법궁인 경복궁을 시작으로 창경궁, 창덕궁, 경운궁, 경희궁 5대 궁궐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할 가장 기본적인 것은 궁궐이라고 하는말에는 왕과 그 가족들이 살던 큰 집을 의미하는 궁과 궁의 출입문 좌우에 세웠던 망루와 담으로 둘러싸인 곳을 의미하는 궐이 합쳐진 말이라는 것 입니다.

  

 

 

 

지금은 양반가의 별당을 짓는 공사가 한창인 모습이네요. 집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대들보와, 골격이 완성되어가는 기둥 하나하나엔 한치라도 틀리면 집 전체가 잘못되는 균형과 끼워맞춤의 백미인 한옥의 기본을 보게 됩니다.

 

  

 

 

 

조선시대의 집 구조엔 당시의 사회상이었던 유교가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었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니  각 건물은 담으로 구분이 되어 주인과 하인들이 사는곳 남자와 여자가 사는곳이 확실하게 분리되어 있었던 것 입니다. 

 

 

 

또한 전통 한옥속에는 지역에 따라 다른 집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후와 특성을 활용했던 과학적 우수성을 보게되는데요, 겨울이 긴 북쪽 지방에서는 집 안의 열이 밖으로 새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으며 중부지방에서는 북부와 남부의 지을 합쳐놓은 형태, 무더운 여름을 견대야만 했던 남부지방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던 것입니다.

 

 

 

그 밖에도 한옥의 과학성을 입증하는것은 또 있었읍니다.  종종 한옥을 찾다보면 앞마당에는 아무런 꾸밈이 없고 집마당에 나무가 심겨져 있는것을 보게되는데요  그건 바로 뜨거운 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순환을 이용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나는 비결이었으며,  바람의 원리를 이용해 자연 냉장고인 찬광을 만들었던 비법을 만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한옥하면 온돌이라고 하는 최고의 열 전달 시스템이 과학적 우수성을 대표하고 있음입니다.

 

 

 

이야기는 통통 튀는 이선비의 모습처럼 가볍게 하지만 지식은 진중하고 깊이있게....

이것이 바로 아이세움 처음 읽는 역사동화의 매력입니다. 

이 책을 읽을때면 알아가는 것이 많기에 독후활동이 꼭 하고 싶어집니다.

 

 

 

둘째가  만들어 본 한옥을 짓다랍니다.

 

 

 

 

서울의 다섯궁궐, 한옥에 대해서, 지역별 집 모양, 한옥의 과학성, 한옥 짓는 과정과 한옥 체험마을까지

책의 내용을 기본으로 기억하고,  이해해야할 부분들에 대해 자신의 책을 만들어가며 조금은 특별하게

공부해 보았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