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전 : 부를 탐하다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4
최문애.박선희 지음, 최지경 그림 / 휴이넘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흥부전 * 부를 탐하다 * 휴이넘의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효녀였던 심청이가 불효녀가 되기도 하고 착하기만 했던 흥부가 무능한 사람으로 비추어지기도 하는 등 고전의 해석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곤합니다. 휴이넘의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은 그렇게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고전을, 쓰여졌던 당시의 사회상을 통해 역사를 말하면서 왜 그러한 이야기가 쓰여질 수 밖에 없었는지의 본질속에서 작품을 제대로 해석해 주네요.

철저한 신분사회라 알고있던 조선시대는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사회의 중심이었던 신분제가 무너지면서 새로운 사회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경제관념이었습니다.  그건 공부만하던 선비가 먹고 살길을 찾아 매점매석을 한다는 박지원의 실학사상이  녹아있던 양반전과 같은 소설을 낳기도 했지요

휴이넘의 흥부전에서 우린 그렇게 변화해가는 조선후기의 생활모습과 경제관념이 반영되어서는 기존에 알고있던 악한사람의 대명사였던 놀부와 착한사람을 대표했던 흥부가 아닌 자본주의 사회의  부익부빈익빈의 개념을 찾아갑니다.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은 줄거리와 판소리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져서는 스토리와 리듬감이 살아있는 가운데 들어가기, 고전읽기, 쉬어가기, 고전파헤치기 4단계로 이어지면서 지식과 상식이 풍부해져갑니다.
한 부모밑에서 태어나 한 부모밑에서 살게던 흥부와 놀부 두 형제는 태어날때부터 전혀 다른 성품을 지니고 태어났으니 놀부가 물욕이 많았다면 흥부는 불쌍한 사람을 도와줄줄 알았고 배려할 줄 알았던 것입니
다.

하지만 그것도 돈이 있을때의 상황이었으니 부모가 돌아가신후 맏이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조선의 상속제도에 따라 알거지로 쫓겨난 흥부는 당장 가족의 끼니가 걱정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게다가 자식은 오죽이나 많이 낳았던지 29명에 이르는 자식들을 보면서 금술좋은 부부관계를 탓하기에 이르지요.  







그렇게 조선시대의 경제관계가 급격히 변화한데는 직접 씨를뿌려 놓사를 짓던 방법을 탈피 모내기를 통한 이앙법이 자리를 잡으면서 수확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랍니다. 그로인해 농토를 소유한 평민들과 양반들을 중심으로 부를 쌓아간 반면 농토가 없던 일반 평민들은  더욱 더 가난해 졌던 것입니다. 또한 벼슬을 돈으로 사고 파는 병폐가 심각해지면서 양반들조차 돈벌이에 나서야만 했던 현실이었습니다.



그러한 사회적 현상은 가난한 흥부를 더욱 무능하게 만들어갔습니다. 매품도 팔고 삯바느질을 하는 등  닥치는 되는 일을 했지만 29명에 이르는 대가족이 하루 한끼를 해결하는것도 쉽지가 않았던 것입니다.




그렇게 먹고살기 힘들었던 서민들은 나도 부자가 되고싶다라는 소망을 꿈꾸게 되었고 그러한 소망이 담긴 이야기가 만들어지기에 이른것입니다. 그렇게 흥부전속에는 조선 후기의 변화한 시대상이 녹아들며 당시의 생활모습들을 이야기속에 다 표현되어 있었습니다.




당장의 삶이 힘들더라도 언젠가는 부자가 될 수 있다는 희망 메시지에 기운이 나고  복을 주고 벌을 내림으로써 사회의 응징이 따른다는 판결에 시원해지는 흥부전,  제대로 된 줄거리를 만나고 그것을 해석해주는 당시의 사회상을 통해 만나는 고전작품속에는 우리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었습니다. 또한 리듬감이 살아있는 대사에선 우리 고유의 예악인 판소리의 장단까지 몸에 익어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