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두뇌 만들기 1 - 내 안에 숨은 과학의 씨앗을 깨워라 아이세움 열린꿈터 8
다이앤 스완슨 지음, 윤소영 옮김, 박성은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과학두뇌 만들기 / 내 안에 숨은 과학자의 씨앗을 깨워라 / 아이세움 열린꿈터 8권

우리 아이들은 다양한 관심과 지식 소질과 재능이 독특하게 결합된 존재들로 태어난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들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저마다의 관심과 개발이 있어야 할 터 어린시절 저마다 한번쯤은 꿈꾸었을 과학자의 꿈에 다가가게 만드는 이야기를 만난다. 그렇게 심오한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굳이 어렵지도 않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무언가를 관찰했을 때부터 그것이 과학자의 씨앗이었단다. 맛을 보았던 것, 보았던 것 등, 그 모든것들을 의심하고 질문하고 상상하고 조사하고 관찰하는것들요, 그 예로서  물리학자 알베르토 아인슈타인은 ' 과학이란 크게 보면 일상적인 생각을 세련되게 다듬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 라는 말을 하기도 했단다.


              

끊임없이 질문하라/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라 / 끈질기게 계속하라/ 수집하고 분류하라 / 관찰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기록하라 / 패턴을 발견하라 / 실수에서 배워라 / 스스로 실험헤서 확인하라 / 정확하게 측정하라 / 답을 구하라 /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라 그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들은 스스로 전기를 탐구한  마이클 패러데이, 생명의 시작을 추적한 찰스 다윈, 거위 알을 품은 소년 토머스 에디슨, 실험으로 자신의 생각을 증명한 블레즈 파스칼등이다




제목에서 가졌던 선입견에다  들려주고 있는 내용과 과학자들의 면면을 보노라면 아주 딱딱하고 어려울 것 같은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책은 전혀  어렵지않고 지루하지 않으며 아이들이 보기 좋은 큼지막한 글씨 사이즈에 내용은 쉽다못해 재미있기까지 합니다.

과학두뇌 만들기의 필수 요소들인 각각의 아이템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나무와 같았습니다. 

아홉명의 대식구가 빵 한덩어리로 일주일을 연면해야 했을만큼 어린시절 너무도 배가 고팠던 마이클 패러데이는   색깔은 어디서 와요 ? 홍차에 설탕을 넣고 저으면 무슨 일이 일어나지요 ? 물이 끓으면 왜 거품이 생겨요 ? 와 같이 끊임없는 질문을 하고 답을 찾으면서 스스로 놀라운 지식을 얻어냈다합니다.

또한 산더미처럼 쌓인 눈더미에 꼼짝없이 갇혀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소년은 그 눈더미속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을 찾았고 스노모빌을 발명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렇게 위대한 과학 발명품엔 과학자들의 특별할것 없는  어린시절이 있었습니다.  특별할것 없는 어린시절이란 모든 아이들이 해봄 직한 생각들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그냥 넘기느냐 더 발전시켜나가느냐에 따라서 결과는 완전히 달라지고 있었음이지요.
 
          

아이세움의 열린꿈터 8권 과학 두뇌만들기 1권은 아이들이 그렇게 어린시절에 보여주는 특별한 생각들과 표현들을 과학 두뇌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인도해주는 내용들이었습니다. 잠깐 생각했다간 치워버리는 아이디어를 발전해 나갈 방안들이었지요. 

아이들은 위대한 과학자들의 어린시절 모습을 통해 자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생각들을 더욱 집중해 볼 수 있는 시간임을 확인하며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과학적 흥미를 발전시켜 나갈수 있었습니다.
또한 각 이야기가 끝날때마다 주어지는 두뇌게임은 과학적 지식을 스스로  성장하게 만들어가는 통로가 되어줍니다.  어린시절 아이들이 펼치던 기발한 사고력과 창의력이 무한한 잠재성임을 인정하는 동시에 좀 더 발전해갈 수 있는 방안을 보여주고 있었던 책, 그 이야기에서 아이들의 두뇌는 팔닥팔닥 뛰고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