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길고양이 - 제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1
김현욱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해마다 시이면 시, 단편이면 단편, 장편이면 장편 각 분야별로 신진작가를 발굴하고 잇는 푸른문학상을 통해 아이와 난 단편소설의 맛을 알아갔다. 장편에만 치중되어있던 독서 이력을 탈피하여 흔치않은 단편 소설을 찾아읽게된 계기였었다.

내 이야기 인듯싶기도하고, 적어도 내 주변 누군가의 이야기가 되지않을까 싶은 여러 이야기속엔 충분히 공감이 가는 소재들로 그 또래가 겪음직등한 이야기를 통해 생활속에서 겪게 될 아픔을 이겨내는등의 지혜를 보여주는것이다.

 

어른이고 아이이고 간에 성장의 표식이라도 되는등 갈수록  내마음대로 안되는 일이 많아지고 세상을 삐딱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커지기만한다. 쌓이는 불만을 표출할수록 친구간,가족간의 불화는깊어만가고 혼돈의 의식속에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이 날카로워진다. 그럴때 이런 단편집을 마주하는것은  다른이가 똑같이 힘든상황에서 슬기롭게 극복해가는 모습을 통해서 세상사의 지혜를 엿보며 함께 성장할수 있다는 것이다.

 

엄마 아빠가 이혼했다는 사실을 무기로 친구들로부터 동정표를 얻으려한다는 친구의 이야기를 심심찮게 듣게되는 요즘이고보면 엄마 아빠가 이혼한 사실이 적어도 흠이 되지않는 세상은 되었지만 아이들이 가지게 되는 마음의 상처는 여전한 모양이다. 그렇게 아이들에겐  자신이 아닌 어른들로 인해 생거난 아픔이 존재하거나, 자기만이 느끼고 가지게되는 특별함을 인정해주지않는 어른들과 사회적 틀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경우가 참 많은데 그렇게 힘들때면 한편 한편 들춰보며 용기와 지혜를 주는 힘이 올해 푸른문학상을 수상한 총 7편의 단편속에 담겨있었다.  

 

엄마가 집을 나가버리고 아빠가 암이라는 병에 걸리면서 문제아로 낙인찍인 욱삼이는 무얼하든 선생님과 친구들로부터 따갑게 바라보는 눈초리를 감수해야만했다. 하지만  감당이 안되던 밀린 병원비와 소생 가망이 없단 마지막 통고후 할머니가 계신 작은 시골마음에 찾아들며 오랫동안 겨드랑이 속에 접혀있던 꿈의 날개를 펼쳐낸다. 편견없는 따뜻한 시선의 힘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여신히 보여준다. 책을 싫어하던 다미 이야기도 마찬가지였다. 노숙자라고하는 사회적 패배자와 책과 도서관이라는 전혀 어울릴것같지 않은 소재속에서 특에 박힌 편견의 오만함을 보여주는

동시에 책속에 담겨있는 진리와 재미를 특별한 모습으로 들춰낸다.

 

엘리베이터 속에 괴물이 있다 믿는 영민이는 같은 또래집단으로부터 왕따를 당한다. 그동안의 절친이자 같은 아파트에 사는 준호와의 관계도 서먹하기만한데 이것이 바로 남의 일이 아닌듯 느껴지며 요즘 가장 큰 걱정거리로 자리잡은 친구같의 교우문제였다. 특별한 아이들만의 문제로 생각했던 두려운 현실이 5학년이 되면서는 너나 할것없이 모두가 해당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

하지만 영민이는 용기를 실천하며 참으로 슬기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거기에 더불어 어른들을 많이 부끄럽게 만드는 이야기도 있었다. 쓰레기 소각장의 위치를 두고 어른들이 두 동간에  분쟁을 일으키는 모습은 이기심으로 빛어낸 인간심리를 꼬집으며 아이들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보여주지 말아야하는지를 여실히 깨닫게 한다. 그밖에도 아웅다웅 싸우며 사랑과 우애는 찾아보기 힘든 자매간에 피는 물보다 진한것임을 깨닫게 해준 대장이 되고싶어 소낙비 그쳤다.    하늘에 세수하고 싶다.   라는   멋진 시와 함께 새로운 가족 형성의 과정속에 융합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던 하늘에 세수하고 싶어까지 7편 모두 각각의 느낌으로 지금의 세상을 보여주었다.

 

그 이야기들은 지금까지 여러 이유를 들어가며 각자의 마음속에 자리했던  어지럽고 힘든 상황과 생각들 푸른하늘을 바라보며 하늘에 멱을 감듯  흘훌 털며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