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욕의 역사 100년 고려사 5부작 100년 시리즈 1
이수광 지음 / 드림노블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천년의 긴역사를 자랑스이 생각하는 우리에게 각 시대마다 나라마다 의미하는 바가 다 있겠지만 풍족한 기록으로 속속들이 알아가는 조선시대에 비하여 우리에게 낯설기까지 한 시대가 고려였다. 코리아라는 이름을 세계에 알렸고 남존여비 사상이 두터웠던 조선과는 반대로 여자들의 위상이 높았다 아는정도,그리곤 팔만대장경과 삼별초의 대몽항쟁정신을 높이사곤했었다. 그렇게 우리는 거기까지만 알고 싶었던듯하다. 너무도 굴욕적이고 너무도 한심스러웟던 내면 깊숙한 역사를 굳이 들춰내고 싶지 않았겠구나.

 

오백년의 고려사속 묻어두고 싶었던 그 역사속 진실들이 이수광 선생님의 고려사 5부작 100년 시리즈에서 속속들이 파헤쳐진다. 세계를 정복한 몽골의 칭기즈칸과 쿠빌라이의 침략에 맞서 강화도로 몽진후 30여년간 투쟁을 펼쳤던 제 23대 왕 고종이후 원종, 이어 공민왕의 개혁장치가 펼쳐지기전 몽골황제의 부마가 되어 충성맹약을 했던 제25대 왕 충렬왕에 이어 30대 충정왕까지 100여년의 역사는 책 제목 그대로 굴욕의 역사였음을 확인한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미쳐 만나지 못했던 사실들, 그 후 어떤 서적에서도 찾아볼수 없었던 진실이 이것이었구나 참 많이 아파온다. 이정도로 무능했구나 이렇게까지 자기 안위만을 생각하며 나라를 짓밟았구나 부와 권력의 맹점앞에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던 힘없는 민초들의 고통만이 아려온다.

 

고려왕족과 몽골 왕족사이에서 태어나 원나라에서 자라 고려의 국왕이 되었던 여섯임금은 고려사람도 원나라 사람도 아니었다. 일본원정에 명분없이 끌려가 수만명의 백성들이 죽어갈때도, 몽골군사에 의해 너무도 많은 부녀자들이 겁탈 당하고 볼모가되어 이유없이 끌려갈때도 왕의 자리에 전전하며 권력을 지키기에 급급했고 주색에 빠져 헤어나올줄을 몰랐다. 몽골의 공주이자 부인인 몽골의 간섭에 치여 제대로 된 정치를 펼친 상황도 아니었지만 그러한 의지 조차도 없었던 임금들이었다. 지팡이를 휘두르는 부인의 눈치를보고 아버지의 부인을 간음하고 5년이란 긴 시간동안 나라를 비운채 몽골에서 낭인생활을 했던 인물이 바로 고려의 군주였던것이다. 

 

최씨무신정권에 맞서 왕권을 찾고자했던 고종과 원종은 몽골의 도움을 받으며 고려를 몽에 복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한후. 최씨 정권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위해 고려백성들 전쟁속에 몰아넣었다. 삼별초의 항쟁 역시나 순수한 마음이 아닌 무신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이제서야 알게된다. 그렇게 수천 수만명이 죽고 노예로 끌려갔던 고려의 역사는 기록으로 남겨지지 못했기에 이 책속 내용또한  저자의 주관이 많이 포함되어있을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전제속에서도 이것이 진실이란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역사서를 읽을때면 현실의 거울이란 생각이 들때가 있었다. 지금의 모습이 100년전 아님 200년전, 300년전등 과거의 한 싯점과 비슷하다 느껴질때... 그것이 역사를 알야야하고 공부를 하는 목적일것이다. 아프다고, 슬프고 부끄럽다, 숨기지말고 내놓고 평가하며 반성해야만하는 이유였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낯설기만했던 고려의 역사를 진실된 눈으로 조명하는 고려사 5부작이 참으로 의미있게 생각된다. 미약하나마 세력을 움켜진채 썪을대로 부패했고 자기중심적이었던 권력가와  그 밑에서

한없이 짓밟힌채 고통속에 숨죽였던 힘없는 민초들의 적나라한 대립현상을 보여주는게 바로 굴욕의 역사 100년이 의민하는것, 슬프고 부끄러웠던 생생한 역사를 통해 우린 고려의 본모습을 이제서야 마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