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통 한국사 4 - 조선 후기부터 대한 제국까지 통통 한국사 시리즈 4
안길정 기획.글, 최수복 글, 이동승.유남영 그림 / 휴이넘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것이 역사인데 우리는 단절된 지식으로만 받아들였던것같다. 그래서 역사하면 더욱 어렵게만 인지되었던듯 그렇게 선조들이 걸어왔던길이요 변화되온 삶의 흔적들을 단편된 지식으로만 인지하며 딱딱 끊어버렸던 사실들을 주욱 이어가며 흐름을 잡아가게 하는게 통통 한국사였다. 1권을 읽은후 반해버린뒤 구한말의 아픈 역사를 마주하는 4권까지 주욱 이어지는 만남이다.

 

역사는 보통 처음엔 나의 인물이나 사건등 주요부분을 통해 접하게된다. 그리곤 본격적인 학과공부가 시작되며 연대기별 공부를 하게되는데 그러한 공부에 완벽한 서포터즈를 해주는 책이 바로 통통한국사였다.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및 줄기를 잘 잡아주어 그 시대를 이해하고 공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었음이다. 거기에 아이들이 편안하게 볼수 있는 구성에 재미까지있다.

 

4권의 내용은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까지로 어찌보면 아이들에겐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시절이었다. 당쟁과 세도정치로 어지러웠던 조선정치부터 대원국의 쇄국이냐 개국이냐를 사이에두고 미국과 프랑스 청 일본과 러시아로 얽힌 세계열강들의 침략과 어지럽고 안타까웠던 대한제국의 현실까지,너무 부끄러워 감추고 싶었던탓일까 아이들이 이해하기엔 너무도 복잡했다.

 

그런데 그 시대를 제대로 인지하게 만드는 특징을 잘 잡아주고 있었는데 조선후기는 과학의 발전으로 농업이 발전하고 상업이 활성화되며 양반중심의 귀족사회에서 서민 중심으로 점차 바뀌어가는 형상이었다. 거기엔 문란해진 사회제도속에서 대동법 탕평책 균역법등의 서민중심의 개혁정치도 포함되고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천주교의 전래와 실학과 동학의 발전도 큰 몫을 하고 있었다.

 

가보자 여기로 시작해 본문에 이어 돋보기와 개혁이 필요해라는 4가지의 단락으로 그 시대의 특징과 포인트를 잘 캐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아이들은,조선후기하면 판소리를 비롯한 예술분야의 서민문화와 허생원으로 대표되는 상업의 발전이라는 색깔을 확고히 알아간다. 이어 구한말 조선의 최고 쟁점기였던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빚어지는 일련의 사건들과 근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격동기의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설명하는데있어 배경과 요지들을 잘 어필하기에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그 와중에 서민들의 새로운 구심적인 천주교와 동학이라는 종교가 등장하고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경장 을미사변에 이어 아관파천에서 을사조약까지 팽팽하던 긴장감이 끊어지며 일본의 식민지화가되어가는 대한제국의 운명이 최대한 담대한 모습으로 구술되어있었다. 참으로 아팠던 시간으로 아이들에겐 더욱더 조심스럽기만 한 시간이었다. 그 시간을 이해하는데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키울수도 있기에... 그렇기에 개인적으로 이러한 시선이 더욱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