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5 - 새 나라 조선을 세우다 (1392년~160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5
장지연 지음, 백금림 그림 / 웅진주니어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보는 한국사교실은 이제 6학년이 된 큰아이가 즐겨보는 책이었다. 지금까지 4권의 책을 만나며 본격적인 역사공부 시작전 학과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었다. 한데 요즘은 교과과정이 바뀌며 초등학교시절 역사공부를 놓쳐버린 작은아이가 뒤이어 읽고있다. 시대별로 우리의 역사를 깊이감있게 풀어주는 이야기는 이렇듯 학교공부의 예습용으로도 혼자서 스스로 해가는 역사알기에도 큰 도움이된다.

 

이 책의 특징중 하나가 한 작가에 의해 시리즈 전체가 쓰여진게 아니라 각 시대에 전통한 전공선생님들이 집필하여 매번 달라지는것으로 한권 한권 만날때마다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고 느낌이 달라지는 것이었다. 조선초를 다루고 있던 이책은 특히나 달라진 독특한 감각이었다. 사건 중심의 이슈를 다루는게 보통인 역사서와는 다른 그 시대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느껴지는 통사로서, 달달 외우는 주입식 풀이가 아닌 논술을 대비한 스스로의 사고를 형성해가게만드는 해석이었다.

 

첫단락은 약한 왕권으로 스스로 무너져버린 고려를 등진채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가 만들어가는 과정이 비교적 소상하게 풀어져 있었다. 두번째장에서는 조선의 기틀이 되어준 성리학이 완성되어가는 과정과 태조가 만들어놓은 기틀위에서 세종조 문치중심의 태평성대가 이루어지는 과정이,세번째는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의 출현과정을 알수 있었던 향촌사회의 변화였으며 마지막 이야기는 조선시대의 최고의 이슈인 조일전쟁사로 본 당쟁사였다.

 

조선의 색깔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주제요 이야기로 사회전반적인 분위기에 젖어드는 이야기로 특별한 사건과 두드러지는 인물 없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제대로 인지하게 만든다. 연대별로 달달외우는 기존의 역사서를 탈피하여 아이들스스로 주관적 사고를 만들어갈수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만들어 주고 있었슴이다. 그렇기에 책을 읽는내내 요즘 아이들의 공부법에 부합되는구나 싶어졌었다.

 

그건 기존엔 정치이야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것과 달리 생활사와 문화사가 동등한 위치에서 다루어져 있었으며 그 사실들은 다양한 사진과 자료들로 풍성하게 채워져있어 더욱 화려했다. 그렇게 제공된 다양한 볼거리들은 당시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큰힘이 되고있었음음 물론이요 또 하나 클릭 역사유물속에서 다루어주는 천상열차분야지도, 경회루, 조선방역지도, 조선왕조실록, 몽유도원도, 종묘제례악과 같은 조선의 유물을 다루어주던 이야기는 그것만으로도 한권의 책이 되지않을까 싶을만큼  무척이나 알찬 내용이었다.

 

마주보는 한국사교실은 만날수록 참으로 좋아지는 시리즈다. 
조선의 역사를 만난후 27대 왕의 정리와 5대 궁궐에 대하여 조사를 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