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이 자라날 때 문학동네 청소년 4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인기있고 재미가 있어도 공포영화라면 눈길조차 주지않는 나이기에 이 책을 읽기까지는 대단할것 까지는 아니더라도 특별한 용기가 필요했다. 국내최초 호러동화라는 평을 받으며 등장한 뚜렷한 색깔을 지닌 작가의 단편모음집은 그렇게 전체적으로 강렬하면서도 음습한 이미지가 풍겨졌다.

 

그리곤 아이들이 실제로 앓고있는 가슴앓이가 선명하게 드러날때마다 난 공포에 가까운 아픔이 찐하게 밀려온다. 아무리 소리치고 하소연해도 들어주는 이 하나없는 기분 대답없는 벽에서 튕겨나오는 메아리에 맞는 느낌, 그런 기분이 들었던 때가 나도 있었음을 깨닫는다. 아 그때는 그랬었지.....

 

다 컸다 방심하고 이젠 혼자서 잘 하겠지싶어 부모들이 손을 놓을때, 아니 스스로 모든것을 판단하고 결정하며 자신을 완성해갈때 사람들은 불안하다. 다른 아이들은 다 행복하고 자신감 있어보이건만 나만 부족하게 느껴지고 세상밖으로 밀려가는 느낌마저 든다.스스로 믿지못하지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내비치긴 정말 싫다. 최대한 감추고 포장하며 나를 꾸며간다. 가끔은 그 속에서 자신감을 찾게도 되지만 보통은 더욱 공허해지고 지쳐가고 깨져버린다.

 

작가는 자기감정을 최대한 배제한듯 너무 단순할정도의 객관적인 시선으로 다섯이야기를 풀어놓았는데 그래서 더욱 상상할 거리도 자신을 비추어 볼 기회도 많아졌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학창시절을 회상하면 절로 웃음이 지어지는게 참 행복한 감정이다. 하지만 이책을 읽으며 구체적인 모습을 떠올리니 많은 제약으로부터 벗어나고싶었고 그냥 힘들었고 빨리 벗어나고 싶었었다.

 

하지만 그렇게 힘들었던것은 모두 망각한채 기분좋았던일 순수했던 아름다운 기억만 남겨져있다.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그래서 아이들이 아파하는것을 좀체 느끼지못했나보다. 학기초 같이 어울릴 패거리는 이미 형성되었고 그 테두리에서 밀려나면 다음수순은 왕따였다. 당장의 불만으로 그곳을 벗어나기엔 너무큰 두려움이었던것이다.

 

가장 순수해보이는 시기요 그래야만 하는 시기는 친구 이전 경쟁상대라는 두려움앞에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밟지않으면 내가 밟힐수있다는 현실은 아이들을 더욱 거칠게 몰아붙인다. 당장 다가올 점심시간에 혼자 밥먹는 고문에서 벗어나기위해선 약한 친구의 얼굴에 손톱자국을 내야만했다. 이렇듯 다섯편의 이야기엔 가해자이지만 정작은 피해자였던 지극히 평범한 우리 아이들의 이야기였다.

 

학교생활에서 왕따이야기는 이젠 더이상 특별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아주 일상적인 이야기로 부디 내 아이가 아니기만을 바라게되는게 현실, 작가 방미진의 이야기엔 그 내부를 속속들이 파헤치며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해부하고있었다. 왜 그런 일들이 일어나고 일어날수밖에 없는지 구체적으로 들려주고 있기에 궁금증을 해결한듯 마음이 시원해져야하는데 더욱더 답답하고 안타깝기만하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풀어야하는걸까?. 현실이 그렇다라는것을 밝혀놓고 아이들의 마음을 알아주는것만으로 위안이 되기엔 상처가 너무도 컸다. 부족한만큼 채워가고 자아를 만들어가는 시기, 넘고 넘어야 할 산이 척척 산중이다. 자신의 앞길을 막고있는 벽을 뚫고 전진하기위한 고통스런 몸부림을 하고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좀 더 많은 힘을 불어넣어주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