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달 우리 민속 - 우리 전통문화 바로알기
옛이야기 연구회 지음, 김연정 그림, 한국아동문학인협회 추천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명 우리의 것이건만 어른인 나조차도 이런 세시풍속이 있었던걸까 고개를 갸웃갸웃하게되는것이 요즘의 현실이다. 농자천하지대본이라하여 농사가 중심이었던 우리 전통사회에선 참으로 중요하고 귀했던 풍속이었는데 변모한 현대사회에선 너무도 많은것들이 잊혀지고 등한시된채 사라져버린것이다. 그래서 적어도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전까지만해도 설과 추석과 같은 큰 명절을 제외하곤 챙겨볼 일도 거의 없었음을 인정한다.  

 

그나마 난 많은것을 보고 듣고 느끼고 실제로 체험하면서 깨달으라 많은것을 보여주었다 생각했었다. 실생활에선 결코 경험할수 없는 우리의 세시풍속들을 그나마 가장 가까이에서 접할수있는 남산 한옥마을에 자주 드나들며 창포물에 머리도 감아보고 그네도 띄어보고 씨름구경도 했었다. 하지만 그건 그냥 기억을 상기시키며 아 그랫었지 라는 간접적인 도움이 될뿐 체계적으로 우리 전통 풍속을 알아가는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한데 아이들 교과과정엔 우리의 세시풍속들이 왜그리 자주 등장하는지 생활속에서 보고 들었던라면 너무도 쉬웠을 공부가 전혀 경험이 없는 아이들에겐 어려운 공부일수밖에 없었다. 한데 이 책 글씨의 크기부터 내용 구성과 그림들까지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참 정리가 잘 되어있다. 삽화또한 너무 아름답다

 

 

  

 

 

우리의 세시풍속이 원래 그러했듯 달을보가 만든 음력을 기준으로 전통민속들을 다달이 월별로 잘 정리해주고있다. 이렇게 정리된것을 보니 1월엔 설날과 대보름에 이어 입춘까지 세개나 들어있다. 그렇게 총 20여개의 세시풍속을 만났다.

설날에 먹는 떡국 대보름엔 부럼과 묵나물로된 나물을 먹고 추석엔 송편을 먹는이야기, 설날에 웇놀이와 널뛰기로 흥을 돋구고 대보름날 밤엔 달맞이와 다리밟기로 한해의 안녕을 빌었다. 

 

입춘과 하지 동지와 같이 계절이 가는것을 기리는 세시 풍속이 있었는가하면  힘든 농사를 지을 앞날을 위해 머슴을 위했던 중화절 , 농민들이 가장 바쁜시기였던 망종과 같이 농사와 관련된 풍속도 있었다. 그러한 우리 민속들의 전통음식과 놀이는 물론이요 진나라 개자추의 일화로 시작되었다는 한식을 비롯한 유래를 알수도 있었다.

 

이렇듯 그동안 조각조각 만났던 우리의 전통 민속들을 이책을 통해 한꺼번에 정리해보게되었다. 더도말고 덜도말고 책에서 들려주고있던 딱 이만큼이 필요했었기에  이 책을 읽게된 아이들에겐 너무도 효과가 크게 작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