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픈 여우 콘라트
크리스티안 두다 지음, 율리아 프리제 그림, 지영은 옮김 / 하늘파란상상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배고픈 여우와 아기오리가 가족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

절대 불가능할것같은 모습이건만 완벽한 가족이 된 이야기가 지금부터 펼쳐집니다.

 

배고픈 여우 콘라드는 허기진 배를 채워줄 먹을거리를 찾아 호숫가를 걷고있었습니다. 그때 눈에 들어온것은 알을 품고있는 엄마오리였답니다. 하지만 위기상황에 몰린 엄마오리는 알을 버려둔채 혼자 도망가버리고 허기진 배를 채우기엔 턱없이 부족한 오리알 하나만 덩그라니 남겨졌네요

 

그래서 배고픈여우는 알 볶음이라도 해먹을 요량으로 달고 들어오게되는데 고새 아기오리가 되어버렸어요. 그리곤 태어나자마자 아빠 아빠 부르며 무조건 믿고 따르는 아기오리를 차마 잡아먹을수 없었던 콘라드는 차후를 기약합니다. 그리곤 로렌츠라는 이름까지 갖게된 아기오리와 콘라드는 가족이 되었습니다.

 

배고픈 여우에겐 오리라는 먹이감은 세상 전부일것이고 반면 오리에겐 전혀 밑질것없는 관계형성을 보면서 자기의 모든것을 희생한채 가족구성원을 형성해가는 인간사를 떠올리게됩니다. 나만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아이들을 위해 모든것을 주고싶어하는 부모마음이 느껴집니다.

 

자유분방하고 호탕한 그림과 대비되는 여우 콘라드의 삶은 그래서 더욱 강렬한 인상입니다. 갓 태어났을때의 빼빼 마른 모습보단 통통하게 살이 오르기를 기다리고 엠마라는 암컷오리를 만나 새로운 식구가 늘어나며 여우의 고픈 배를 채워줄 오리는 더욱 늘어나건만 여전히 콘라드는 배가 고픕니다.

 

오리는 이미 주린배를 채워줄 먹잇감이 아닌 가족이 되었기 때문에.....

 

이렇듯 호탕한 그림속에서 가족이 된 여우와 오리의 삶이 일상적인 모습으로 그려졌다. 지극히 평범한듯하지만 특별할수 밖에 없었던 이야기는 가족의 본질을 생각하게만들고 마지막으로 누군가는 떠나야만하고 그 자리에 더 많은 자손들이 남아있는상황까지 묘사하며 삶의 지혜와 가족의 아름다움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