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치 - 제7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미래의 고전 11
보린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다하면 난 휴식과 낭만만을 떠올리곤했다. 넘실대는 푸른 바다속에서 희망을 보고 휴식을 취하고 즐거움만을 찾았었는데 이책의 주인공인 뿔치의 바다는 아주 치열했고 어두웠으며 힙겨웠다. 똑같은 대상을 두고 이렇게 다를수 있음이 바로 인생인가보다. 태어날때부터 부정이라는 굴레를 짊어진 뿔치와 얼굴이 얽은 곰보로 태어난 살강이에겐 보통의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의미의 바다 그것이 인생을 대변하고 있었다.

 

푸른문학상중 미래의 작가상을 수상한 이 작품은 뿔치와 살강이 두 인물의 해양 환타지 모험속에 우리민족의 옛 모습들이 배어나오고 있었고 부정이라는 운명에 묶여버린 두 소년소녀가 그 운명을 박차고 나가는 용기와 좌절 자아관속에는 삶의 무수히 많은 의미들과 사회적 고리까지 복합적으로 제시되어있다.

 

용이 승천한 뿔치에 붉은 피를 묻히며 태어났다하여 태어나면서부터 부정을 탄 아이 뿔치는 아버지마저 외면한 고단한 삶을, 동네 당할머니의 품에서 위로를 받는다. 그리고 태어나자마자 버림받은 또 한명의 주인공 살강이는 얽어버린 곰보 얼굴로 인해 뿔치와 함께 부정한 아이가 되어버렸다. 그렇게 부정이란 굴레로 묶여버린 그들의 인생은 10년만에 맞이한 큰 풍랑으로인해 마을에 고기 씨가 마르며 이무기의 제물이 되어버리는 처지에 이른다.

 

자기들 먹고 살겠다고 불쌍한 어린 소년과 소녀를 죽음으로 내모는것이 사람이었다. 위기에 닥치면 내면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기보단 핑계를 찾고 다른이에게 떠넘기곤하는 인간들의 이기심이 바로 이것이니라, 하지만 뿔치는 이무기인 검목이와 거래를 트며 살아났다. 그리고 자신이 누구인지 왜 부정한 존재여만하는지 이유를 찾아 난바다로의 모험을 시작한다.

 

당할머니가 죽으면서 찾아가라했던 이삭항의 이삭대감이 알고있는 용왕이 살고있는 바다, 그리고 그 여정에서 만난 해적선 붉은뱀호의 선장인 귀신상어, 나랏일을 하던 깍짓동과 곰치 너른섬에서 만난 푸른사람들과의 인연속에서 살강이와 뿔치는 이무기 검무기와 위기때마다 자신들을 돌봐준 바래님의 질문에 대한 찾고 자신들에게 씌워진 굴레에서 벗어나기위한 답을 찾아간다.

 

때로는 무겁게 때로는 가볍게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이야기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뿔치가 자신의 존재를 인정해가고 있었다. 그리고 살강이와 검무기와의 마지막 대결까지 끝을 가늠하지 못하게 만드는 긴박감이 흐르고있어 더욱 호기로웠다.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 푸른용의 전설이 묻혀져갔지만 뿔치를 뿔등에서 태어난 부정한 아이가 아닌 뿔치 자체로 인정하게 된 여정은 뿔치의 가슴속에 그대로 남아있게된다.

 

그런 뿔치의 인생을 들여다보며 사회의 비정함을 맛보고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나갈 자세와 어느길이 바른 인생길인가에 대한 판단을 해보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