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무적 조선소방관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8
고승현 지음, 윤정주 그림 / 책읽는곰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아이들과 궁궐을 찾았다 각 전각마다 앞에 떡하니 버티고있던 이상한 그룻을 하나 보았었다. 터무니 없이 큰것이 도대체 무슨 용도일까 갸우뚱 갸우뚱 하게 만들었던것. 후에 궁궐수업을 하며 알게되었는데 그건 드무라는것으로 그 속에 물을 가득 채워두었다 혹시나 화재 발생시 사용하였다 하는데 무엇보다 불도깨비가 찾아왔다가 물에비친 자신의 험상궂은 모습을 보고 놀라 도망가게 만드는거였다.

 

지금도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철이면 화재발생이 잦아지는데 여기저기 화롯불에 군불에 횃불까지 직접적인 화마와 함께 생활했던 조선시대였다면 당연히 더욱 잦았으리라. 하지만 조선시대에 소방관이 있었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그것이 마치 나의 한계라는듯이...

 

참신한 생각을 끄집어내고 새로운 발상을 하는것이 작가임을 알리기라도하듯 이 책은 그렇게 혹시.... 하는 작가적 호기심에서 출발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조선 세종때 처음으로 생겼다는 지금의 소방재청과 같은 금화도감에 편성되었음직한 지금의 소방관격인 멸화군 모집으로  시작하고 있었다.

 

 

  

 

 

멸화군 모집글을 보고 달려온 사람들의 일련을 보아하니 어디서 그런사람들이 다 모였나 싶을만큼 어중이 떠중이 들이다. 빈둥대다 쫓겨난 마당쇠도 천하장사 돌쇠랑 남산골샌님에 똥퍼아저씨까지 모두다 제각각인만큼 새로이 결성된 멸화군의 모숨은 허술하기 그지없다. 아니나 다를까 나루터 불귀신을 잡지못한채 창피만을 톡톡히 당하는 멸화군 하지만 그들이 누구인가 불귀신과 싸우기위해 큰 마음 다지고 모인사람들이 아니었던가.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길을 넓히고 돌담을 쌓고 웅덩이를 파고 불침범을 서더니 두번째 임무는 보란듯이 성공한다.

 

  

 

익살맞을 만큼 친근하고 편안한 그림들이 조선시대의 모습을 대변하고있는듯 더한 즐거움을 주고있어 아이들이 참 재미있어한다. 어른인 내눈에도 새롭고 신기하니 당연한 모습일텐데 그런 아이들의 모습을 보는 재미 또한 크다. 우리의 것이었건만 전혀 몰랐던것을 알아가는 맛도 상당했으니, 지금의 눈으로는 아주 시시해 보이는 물건인 대나무물총과 물주머니가 조선시대의 소방도구의 전부이다시피 했다니 막상 화재가 불생하면 얼마나 큰 피해를 주었을지 짐작이 간다.

 

 

 

  옛날식 소방펌프인 완용펌프             용이 화재를 물리친다고 믿어 지붕에

                                                     장식했던 용두, 용두토수

 

어찌 그리 제각각일까 감탄스러울만큼 다양한 표정을 짓고있던 멸화군들은 그들이 변화해가는 모습속에서 조선의 모습을 보여주고있었고 남산골 샌님이 들려주는 소방골이야기를 통해서 아이들은 잊혀져있던 조선시대의 소방제도를 만났다. 온고지신의 우리문화 그림책 8번째 이야기였던 천하무적 조선소방관은 이렇듯 잊고있던 우리문화를 또 하나 찾아주고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