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대탐험 DK 아틀라스 시리즈
닐 그란트 지음, 피터 모터 그림, 박인식 옮김, 김찬삼 외 감수 / 루덴스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저 산너머에 무엇이 있을지 모르던 고대부터 로켓을 쏘아올리는 지금까지 내가 접하지 못한 세상에 무엇이 있을까 강한 호기심을 보이곤했다. 그렇게 탐험의 역사는 시작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진행중이다.

 

그러한 탐험의 역사는 시대에 따라 원하는것도 추구하는것도 달라졌다.  먹을것을 구하기 위해 미지의 땅을 찾아나서고 바다밑 세상에 무엇이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탐험이 되었던 시대도 있었고 자국의 이익과 부를 위한 보물과 땅을 차지하기위해 앞다투어 배를 띄웠던 시기도 있었으며 지금에 와선 우주어딘가에 존재할수도있는 생명체를 찾아 인공위성을 쏘아올린다. 

 

지금에서야 지구 한바퀴를 도는게 우스워졌고 우리의 반대편엔 어떤 나라가 있는지 짚어낼수있으며 5대양 6대주가 한눈에 들어오지만 그건 불과 몇백년전이었다. 그렇게 되기까지 수많은 탐험가들의 탐험이 있었음을 한눈에 확인시켜주는책이 아틀라스시리즈 6번째 이야기였던 세계대탐험이었다.

 

보통 탐험하면 16c 유럽열강의 식민지 정책을 떠올리게되는데 그보다 훨씬전 6000년전으로 탐험의 역사는 거슬러 올라가고있었다. 그리고 3500여년전 기원전 1493년 이집트인들이 무역을 위해 떠났던 푼트로의 항해부터 세밀한 노선을 보여준다. 이어 유렵과 아시아의 본격적인 교류가 이루어진 2000년쯤전 로마와 중국을 연결해주는 비단길의 정확한 사료를 보여주기도한다.

 

기원전 138년 장건에서  시작된 중국의 탐험길은 서기 399년 법현으로 이어지고 629년에 와서는 손오공의 삼장법사로 알려진 현장에 이르고있었다.정화의 원정만 알고있던 난 중국탐험의 역사가 이렇게 오래되었음에 놀랐을뿐만 아니라 정확한 노선까지 보여주고 있음에 신기했다.

 

그러한 이야기들은 바이킹, 이슬람교도 여행자들의 순례길, 마르코폴로의 중국탐험 포루투갈 사람들, 콜럼버스의 신대륙등 세계사속에 이정표를 찍었던 사람들의 여정을 쫓아가며 아주 상세한 지도와 풍부한 지식을 통한 모험을 전하고있었다.

 

 

탐험을 떠났던 사람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니 그들이 추구했던 목적과 이상또한 다양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행한 무역교류가 주류를 이룬가운데 종교적인 차원에서 길을 나섰던 사람들도 있었고 미지의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떠났던 사람도 처음이라는 기록을 만들기위해 목숨을 걸었던이들도 참 많았다. 그 탐험의 역사는 인류가 발전해온 역사였고 변화되온 역사이기도했고 일방적으로 득을 취하는 쪽이있으면 다른한쪽은 속수무책으로 당해야만 하기도했다.

 

살기위한 땅을 찾아나섰던 사람들, 저 산너머엔 누가 살고있을까?. 바다건너에도 사람이 살고있을까 라는 호기심이 출발이었던 탐험은 극한지역을 점렴하려는 영웅심으로 발전하고 지금에와선 우주라는 무한대를 향한 질주를 하기에 이른다. 그 오랜역사속 탐험이야기를 낱낱이 들려주는 이 책 아이들로하여금 세상이 어떻게 좁아지고있는지를 보여주며 원대한 꿈을 꾸게한다. 

 

이 책을 보고 자란 아이들이 어른이 되는 시간엔 우주가 지금의 지구만큼 작아지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