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1 : 우리말 - 생각이 두 배로 커지는 우리말사전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국어 1
우리누리 글, 심심스쿨 그림 / 길벗스쿨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전 얼마전까지만해도 우리말은 저절로 알게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항상 사용하는 것이니까 매일매일 주고받는것이니까 그냥 그렇게 익숙해지는것 이라는 마음이었었지요. 하지만 아이들이 커가면서 아이들이 쓰는 일기속에서 글속에서 우리말도 공부해야하는것임을 깨달아가게 되었답니다. 우리가 평소 무심코 사용하는 말의 쓰임을 잘 모른다거나 생활권에서 조금만 벗어난 말은 잘 모르고 있었던것입니다.

사용하는 말의 폭이 좁아지니 아이들의 사고의 폭도 당연히 좁아지고 있었답니다.

 

간혹 아이들의 독서록이나 일기장을 읽다보면 어휘력이 참으로 빈약하단 생각을 하게됩니다. 항상 사용하는 말만이 반복적으로 쓰여져있고 그러다보니 다른 내용의 글이라도 모두 써놓고 보면 비슷비슷한 글들이 되어가고 있었던것입니다.

 

생각이 두배로 커지는 우리말사전 그래서 이런말이 생겼대요. 우리말의 어원을 찾아 그말이 생겨나게 된 배경을 짚어주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했던 말 왜 목숨인지 왜 도라지 인지 꼬드기다라는 말은 어떻게 생겼나고 서울사람들보고는 왜 깍쟁이라고 하는걸까등 간혹 아이들이 물어오던 말이었는데 그때마다 참으로 나의 대답은 빈약했었는데 우리말에 대한 공부도 해야하는것임을 알게된지금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었습니다.

 

우리말67가지와 관용구 20가지 총 87가지의 말의 어원에 대하여 4컷짜리 만화를 통해 그말이 사용되는 예를 알려준 후 재미있는 이야기속에서 그말이 사용되는 모습을 짚어줍니다. 그리고는 말미에 그말이 왜 어떻게해서 생겨났는지를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나를 보자마자 미주알 고주알 학교에서 있었던일을 떠들어 대는 아이들 그럴때의 미주알 고주알은 미주알이란 말이 항문에 닿아있는 창자의 끝 부분을 카리키는 말이라합니다. 남의 숨은 일까지 속속 캐려는 것이 마치 창자속까지 살펴보려는 것같아 미주알 고주알 캐묻는다는 말이 생긴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근검절약의 대명사 구도쇠라는 말은 구두가 닳을까 안타까운마음에  닳지 안도록 쇠를 붙였던 일화에서 생겨난 말이었구요

 

이렇듯 우리말의 생겨난 어원을 찾아가다보니 무심코 사용했던 말속에 이렇게 우리의 삶이 담겨져있었음을 알아가며 우리말과 우리의 삶은 하나였다는 사실이 다가옵니다. 그냥 생겨난것은 없었으며 모두 나름의 뜻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더욱 우리말의 깊은 의미를 새겨보는 기회가 되고 있었으며 한층더 사랑하게 만들어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