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이 들려주는 홍길동전
최태림 지음, 김고은 그림 / 세상모든책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익히 알고 있었던 고전이지만 작가가 직접 들려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 작가와 작품이 공존하는 세상 시리즈는 기존에 알고 있던 범위에서 좀더 확장하여 작품이 탄생하게된 배경을 알아가며 이해하는 폭이 훨씬 더 크게 다가오고 있었다

 

작품속 이야기만 덩그러니 놓여져 있을때에는 느끼지 못했던  깊이감이 작가의 일대기와 함께 그 작품이 나오게 된 배경을 마주하면서는 좀 더 성숙한 모습으로 반기고 있기에 그속에 담겨져있던 참의미까지 짚어갈수 있어 내면속 숨겨진 뜻까지 생각해가며 고전의 묘미를 알아가게 해주고 있었다.

 

홍길동전 하면 이미 책으로도 만났고 텔레비젼속에서도 만났고 그밖에 어딘가에서 접했었던 이야기인데 하며 정확히는 짚어내지 못하더라도 너무도 익숙하게 알고 있는 내용이다 그러기에 제목만으로는 새삼스레 또 읽어봐야 하나 하는 마음이 잠깐 들게도 만들지 않나싶다.

 

난 허균이라고 하는 이름을 홍길동의 저자라고만 알고 있었지 한시대를 풍미했던 문장가라고는 생각해보지 못했었는데 이 책을 마주하며 홍길동이란 작품을 새롭게 이해하면서 또한 거기에 허균이라고 하는 위인의 삶을 들여다볼수 있어 더욱 좋은 책읽기가 되어준듯 기분이 좋아졌다.

 

허균은 고려때부터 대대로 문장가를 배출하고 아버지 형님 누나 모두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명망있는 문장가의 가문 막내아들이었다. 하지만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의 정기를 받았기 때문이었을까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천재성을 타고난 작은 형님과 난설헌이라는 이름으로 후대에 넒리 이름을 떨친 누나까지 일찍 이 세상을 하직하는 불운을 겪게된다. 그리고 또한 우환이 많았던 집안만큼이나 나라의 일 또한 임진왜란이라는 큰 전쟁앞에 날로 피폐해져가던 시간이었다

 

이렇게 복잡한 집안과 나라사정으로 타고난 재주만믿고 오만방자해 있던 그에게 진정한 스승이 되어주었던것은 둘째형의 친구였던 서얼 이달이라고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당시 서얼들은 과거에 응시할수도 벼슬길에 나갈수도 없는 사회 구조였지만 진정한 학문세계를 추구했던 앞서갔던 허균 집안 분위기를 느낄수 있었습니다.

 

이런 집안분위기가 홍길동이라고 하는 소설로 태어났지않았나 싶어졌습니다.

아무리 타고난 능력이 출출하더라도 장래포부와 희망을 가질수 없어 낙담을 하고 있는 홍길동의 모습에서  허균의 스승이었던 이달의 모습이 떠오랐습니다.

또한 권력에 타협하지 않고 굴곡많은 삶을 살았던 허균 자신의 모습도 함께

투영되어있었답니다.

 

결국 홍길동의 새로운 나라 율도국은 허균의 이상이 담겨져있던 그가 세우고자 했던 나라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선조 이후 광해군시대에 접어들며 자신이 불안해 떨었던 시간만큼 많은 피를 보았던 광해군을 권좌에서 끌어내리기위한 그의 마지막 수고들은 역모라는 죄목으로 자신이 사형에 처해지며 작품속 홍길동이 이룩했던 이상적인나라 율도국을 실질적으로 만들어가는데는 실패하고 있었답니다. 허균의 일대기와 함께 하며 스스로가 전해주고 있는 그의 이야기는

그의 작품속 홍길동과 함께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하며 고전의 새로운 해석을 할수있게 만들어주었던 아주 특별한 시간이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