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렌이라는 여자가 있다. 14살에 아이를 낳고 바로 입양을 시켰다. 그리고 누구와도 마음을 열지않고 부치지도 못할 편지를 떠난 딸에게 쓰면서 벽속에 자신을 가두고 산다.
엘리자베스라는 여자가 있다. 태어나서 바로 입양되었고 양부모의 사정으로 17세부터 혼자 살면서 유능한 변호사가 되었다. 그러나 사랑따위는 믿지 않고 필요할때 욕구를 해소하면서 한곳에 정착하지도 못하고 떠돌면서 자신을 스스로 지키고 산다고 믿고 있다.
또 다른 여자 마리아는 불임이다. 그녀는 간절하게 아이를 원하고 엄마가 되고 싶어한다. 그래서 입양을 결심하지만 마지막 순간 남편은 망설이고 입양이 어ㅡ긋한다. 그래도 우여곡절끝에 엄마가 되지만 그 길도 쉽지만은 않다.
모성이란 저절로 생기는 걸까? 어떤 글에서 보면 모성이라는 이데올로기자체가 여자를 구속하고 희생을 당연시 하는 것,,, 그것이 없다는 게 결코 죄스러운 것이 아닌 어쩌면 당연한 것임에도사람을 옥죄는 것이라는 걸 본 적이 있다. (정확하진 않지만 그렇게 이해했다)
카렌도 자기가 입양보낸 아이에겐 부치지도 못할 편지를 구구절절 쓰면서 자신에게 다가오는자에게는 면박을 주고 마음을 닫고 매일 집에 오는 가정부의 아이를 귀찮아한다. 혼자 외롧고 힘들다고생각하고 스스로를 가두고 살고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가 죽고 그제사 엄마가 자신보다 가정부 모녀를 더 끔찍히 생각하고 속내를 털어놓았다는 걸 알고 오열한다. 왜 내게 직접 미안하다 내탓이라고 하지 않았을까 하고... 스스로의 상처에 갖힌 카렌은 누군가가 다가오기를 스스로 거부하고 있다는 걸 몰랐던 거다.
엘레자베스 그렇다. 버림받았다. 세상엔 나뿐이다.. 라는 생각으로 독하게 살아오면서 사랑을 비웃고 애정받기를 두려워한다. 임신을 하면서 자신의 엄마에 대해 생각하고 엄마도 그때 이런 마음이었을까 하고 공감하기 시작한다.
아이를 갖는다는 건 참 신비하고 경이롭고 축복받는 일인 동시에 굉장히 불안하고 두렵고 도망치고 싶은 일이다. 더구나 아버지 없이 싱글맘이 되어야 한다는 상황이란 더욱 그럴것이다.
영화는 참 아프고 슬프다. 그러나 보는 이로 하여금 눈물을 짜내게 하지도 않고 담담하게 자신을 돌아보게한다. 관객이 여성이라면... 그는 누군가의 딸이면서 또 누군가의 어머니일테니까 둘은 서로를 그리워하는데 결코 내색하지 않는다. 원망하지도 미안해하지도 않는다. 적어도 겉으로는
엄마가 죽고 마음을 열고 결혼을 한 카렌은 용기를 내어 딸을 찾고 임신을 한 엘리자베스도 몸의 변화를 느끼면서 엄마를 찾는다.
그러나 작은 실수로 둘은 만나지 못하고 결국 엘리자베스는 아이를 낳다가 죽고... 마리아를 매개로 카렌은 자신의 손녀를 볼 수 있게 된다.
엄마가 된다는 것 나도 경험한 일이지만 그건 그저 행복하고 경이로운 일만은 아니다.
아직도 나는 내가 엄마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 딸이 둘이나 되고 엄마경력이 10년이 되었지만 나도 아직은 딸들이 무섭고 버겁고 귀찮을 때가 있다. 한때 그 아이가 내 몸속에 있다는 이물감에 힘들었고 그런 마음을 품는다는게 또 힘들었다. 하지만 잠든 딸아이의 얼굴을 보면서 아니면 그 아이들이 내게 보여주는 한없는 사랑과 애정을 느끼면서 내가 이런 과분한 사랑을 받을 자격이 있나 또 두려웠다. 자식때문에 살고 자식때문에 죽을 수도 없고... 또 반대로 자식이 눈에 밟혀 함께 죽어버리는 여러가지 엄마들의 사연이 남의 일이 아니게 되었다.
엄마가 딸을 그리워하고 딸이 엄마를 그리워하는 것,, 그건 어쩌면 사람속에 사람이 들어있는 기이하고 신비로운 경험을 나누었기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또 경험을 나도 누군가와 나눈다는 것.. 배속에서 함께 한 그 10개월의 시간이 예사로운건 아닐것이다.
영화를 보면서 내내 우리 엄마 내 딸들이 떠올랐다. 나를 통해서 관계를 가지게 되는 여자들의 관계 .. 엘리자베스를 통해 카렌과 엘자가 관계를 맺게 되는 것처럼.. 여자들간의 처연한 공감대는 동서양이 다르지 않는 모양이다. 엄마를 통해 내가 있고 나를 통해 세상에 있는 딸들 서로에게 감사하면서도 애증의 관계가 미묘한... 그런...
다행히 영화는 눈물을 강요하지도 않고 참 쿨하고 담담하게 이야기를 이끈다. 카렌이 가정부를 통해 죽은 엄마의 마음을 알고 우는 장면외에는 참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이야기를 끌고 나갔다.
사실 요사이 여러가지 주체못할 감정들 사건들로 울고 싶은 마음으로 갔었는데 울기는 커녕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는 호통만 듣고 나온 느낌이다. 내가 엄마라서 어쩌면 세상을 더 품으면서 강하게 살아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어처구니없는 생각도 든다.
엄마라는 거 참 그리운 말이다. 그리고 참 따뜻한 느낌인데..
우리딸들이 부르는 엄마라는 이름에도 그런 것들이 들어있기나 할까?
모성이 별게 아닐지도 모른다. 마음을 열고 세상을 품을 수 있는 용기, 받아들이고 감사할 줄 아는 겸손함 그리고 자신의삶을 열심히 살아내는 것 그게 결국은 모성이 아닐까 싶다.
사족... 아네트버닝... 예쁜 사람은 늙어서 꾸미지 않아도 무지 예쁘다. 질투나게...
내 딸이 엘리자베스 처럼 독립적이고 강단있었으면.. 단 그렇게 쓸쓸한 속내는 닮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