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클린 풍자극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이렇게 정리해보자. <브루클린 풍자극>은 폐암을 진단 받은 후 조용히 죽기 위해 브루클린을 선택했던 네이선이 결국 삶에 대한 희망적인 통찰을 얻게 된다는 이야기라고. 급하게 정리해선인지는 몰라도 좀 어색하고 부족하다. 이유? 물론 이렇게 생각하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말장난같긴 하지만 이 소설은 ‘죽음을 벗어나기 위한’ 이야기가 아니라 ‘삶을 구원하기 위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사용했던 용어로 바꾸어 말한다면 <브루클린 풍자극>은 도피, 슬픔, 혐오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휴식, 실존, 구원 에 관한 이야기다.

좀 더 소설의 문장들을 빌어서 얘기해보자. 문학박사 학위를 가진, 뉴욕의 택시 운전사이면서 네이선의 조카이기도 한 톰은 삼촌인 네이선을 만나던 날 ‘믿지 못할 꿈처럼 막을 내려버린 기쁨’과, ‘과거가 되어버린 좋았던 시절’, ‘이제는 완전히 사라져 버린’ 사랑과 환상을 읊조린다. ‘혼란스러운 세상의 하부구조’로 진입하는 유일한 입구, 비록 해리의 부탁을 거절하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지만, 이것이 톰이 생각하는 택시운전사라는 직업의 현학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정의다. 매일 밤 파김치가 될 정도로 피곤하고, 구역질나는 뒷좌석의 오물들과 씨름해야만 하는 택시운전사 톰에게 브루클린은 도피하고 싶고 혐오스러운 도시일 뿐이다. 톰의 박사학위 논문의 소재가 되었던 두 작가, ‘에드가 앨런 포’와 ‘헨리 데이빗 소로’, 에 대한 소설 속의 언급은 ‘도피’와 ‘휴식’에 대한 톰의 심리상태에 대한 은유이면서, 현재-박사 논문을 썼던 시점에서 보자면 미래-의 자신의 처지에 대한 양가감정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은 비단 톰에게만 적용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네이선 역시 마찬가지인 것이다. 이혼남이며 폐암 환자인 그에게 남은 삶이라는 것은 죽음이라는 결말을 위한 기다림의 시간일 뿐이다. 사는 것이 아니라 견디는 것. 이것이 두 인물, 아니 이 소설 속에 나오는 대부분의 인물-톰의 여동생 ‘오로라’와 헌책방 주인인 ‘해리’를 포함해서-들의 심리 상태이다.

포가 그려낸 이상적인 공간과 소로가 그려낸 이상적인 공간이 일치하고 이를 통해서 그들이 구원하려고 했던 것은 기계와 자본주의로 망가져 버린, 오물로 뒤덮힌 택시 뒷좌석 같은 미국이었다. 소설 서두에 제시된 톰의 논문에 대한 이 요약은 더 이상 잃을 게 없는 주인공들이 원하는 것이 결국 두 작가가 추구했던 이상적인 공간과 같은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어디로 도피할 것이냐? 혹은 어디에서 쉴 것이냐? 포는 완벽한 공간인 ‘꿈’속으로 물러났고 소로는 모든 문명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혹은 책을 쓰는 자유, 생각할 수 있는 자유를 얻기 위해 ‘숲’으로 들어갔다. 해리가 상상 속에서 존재한다고 했던 실존의 호텔도, 톰의 조카인 루시를 데리고 가다가 불시착했던 차우더 여관도 결국 포와 소로가 보여줬던 ‘휴식’의  공간에 대한 은유일 뿐이다.

하지만 작가의 최종적인 목표는 인물들을 현실로부터 도피시키는 것이 아니라 구원해 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 모두를 어떻게 구원해주지? 이 물음은 불가능해 보이는 환상을 갖고 있는 인물들을 바라보는 독자들의 고민이면서 또한 아마도 작가의 고민이기도 했을 것이다. 브루클린에서 시작해서 다시 브루클린에서 끝나는 이야기. 죽음을 앞 둔 네이선은 다시 죽음 앞에 서게 된다. 처음과 똑같은 결말. 별로 여유가 없어 보이는 틈을 통해서 폴 오스터는 자신의 장기인 우연과 환상이라는 마법을 풀어 놓는다. 소설 속에 제시되었던, 인형을 잃어버린 소녀를 달래기 위해서 자신의 생애 마지막 삼 주 동안 최선을 다해 편지를 작성하는 카프카의 이야기는 이 작품 전체에 대한 알레고리인 셈이다.    

   인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작가가 선택한 방법은 작품 속 인물들의 환상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다. 카프카는 자신이 밤새도록 쓴 ‘편지’를 통해서 인형을 잃어버려 상심한 소녀에게 어딘가에 살아 있는 인형에 대한 환상을 전달한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에게 ‘사랑’은 환상일 뿐이다. 네이선과 여종업원 마리나 루이사 산체스 곤잘레스, 톰과 BPM (beautiful perfect mother)이라는 별명의 낸시. 그럼 작가가 선택한 것이 이들을 연결시켜 주는 것? 물론 아니다. 그게 아니라면? 작가 폴 오스터의 팬들은 이미 책을 읽었을 테니 답을 알고 있을 것이고 아직 폴 오스터란 작가를 잘 모르는 사람은? 지금부터 천천히 읽기 시작하면 된다.


하지만 소녀, 혹은 독자에게 필요한 것은 정답이 아니라 마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