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도끼다.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한 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냐.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 버린 바다를 깨뜨리는 도끼가 되어야 한다 (본문중에서)

카프카의 말 속에서 도끼는 우리를 잠에서 깨우고, 우리의 삶을 깨뜨려줄 무언가이다. 우리의 잠을 깨우고 얼어버린 삶을 철저하게 부수어 줄 그 무엇. 하지만 도끼가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책은 도끼다'라는 말이 의미를 갖는 순간은 자신의 삶이 도끼를 구할 때이다. 구하는 바가 없는 이들, 자신의 삶을 깨뜨리길 원하지 않는 이들에게 도끼는 '무의미' 한 무엇이거나 무의미 그 자체이다. 그들에게 책은 무의미이고 이름을 부르지 않은 꽃이다. 그 순간 책은 도끼가 아니라 강아지고, 고양이고, 송아지고, 코끼리다. 아니다,

책은 토끼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모피어스(로렌스 피쉬번)는 앤더슨(키아누 리브스)에게 파란알약과 빨간알약 중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빨간알약은 조작된 매트릭스 세계에서 깨어나 현실을 볼 수 있게 해주고 파란 알약은 매트릭스 내에서의 삶속에 만족하면 살도록 해준다. 저자인 박웅현이 책 속에서 일관되게 얘기하고 있는 것은 책이 또는 독서가 우리가 매일 매일 습관적으로 지나치는 것들을 찬찬히 들여다 볼 수 있는 힘을 갖게 해준다는 것이다. 판화가 이철수가 보여주는 여유와 단순함이, 소설가 김훈의 날카로운 관찰이, 시인 고은이 그려내는 서정과 풍경이, 이오덕 선생님이 보여준 어린 학생들의 참신한 시가 무관심과 타성에 찌들은, 일상의 매트릭스 속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소박한 에피파니를 경험할 수 있는 빨간 알약을 건넨다. 그래서 책은 약이다. 그리고 모든 약은 독이다. 고로,

책은 독이다.

카프카의 말을 읽기 전에, 나는 '책은 도끼다'라는 문장에 등장한 도끼가 혹시 전래 동화 속에 등장한 도끼일지도 모른다는 상상을 했다. 모두가 알다시피 그 이야기의 끝은 자신이 잃어버린 도끼가 금도끼도, 은도끼도 아닌 쇠도끼라고 밝히는 나뭇꾼에게 세가지 도끼를 모두 주는 것으로 끝난다. 정직한 이들은 복을 받는다는 이 이야기의 메시지를 잠시 잊어버리자. 이 이야기를 한 번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 나뭇꾼은 '평범한인간'이고, 산신령은 '운명'이며, 도끼는 삶을 이루는 조건들이다. 금도끼는 황금 속의 '금'이 아닌 연금술 속의 '금'이다. 모든 이들의 삶 속에는 연금술사들이 찾고자 하는 변하지 않는 금과 같은 이상이 존재한다 (존재해야 한다고 해야 하나?). 그리고 쇠도끼는 나뭇꾼이 영위해야 할 지긋지긋한 삶이다. 밥먹고, 일하고, 자고, 다시 밥먹고 일하고 자야 하는 일상. 그럼 은도끼는?

얼마전 응급의학과 교실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에게 진로와 관련해서 발표를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내 발표의 결론은 직업은 단순한 돈벌이 이상의 목적과 기능이 있는 것이고,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아실현이라는 것이었다. 자아실현이라는 단어가 너무 거창한가? 만약 그렇게 생각한다면, 우리는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자신의 삶속의 '금'이 무엇인지 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 출근 길 지하철에서 부대끼고, 빡빡한 업무에 시달리고, 야근과 술자리로 하루를 마감하는 것이 삶의 전부라면, 그래서 만약 그들의, 아니 우리들의 이상 또는 꿈 따위가 삶 속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면, 지상의 삶이란 것이 얼마나 비참한 것인가! 다시, 그럼 은도끼는?

은도끼는 쇠도끼와 금도끼 사이에 있다. 다시 말해서 현실의 삶과 이상 사이에 존재한다. 은도끼의 역할은 현실을 견디게 하고 그 속에 숨겨진 자신의 이상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해주는 그 무엇이다. 그게 뭐냐고? 내게는 그것이 바로 '책'또는 독서이다. 이것이 저자의 주장이기도 하다. 그래서 나에겐,

책. 은도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