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의 인문학 카운슬링
강신주 지음 / 사계절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산으로 가는 기차 안에서 읽을 요량으로 산 책이다. 다른 이들은 어떤 지 몰라도 소설이나 시가 어느 장소에서나 편안하게 잘 읽힐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내 경우엔 대략 책의 1/4 정도를 읽어야지 작가의 설정과 의도, 인물들의 면면, 이야기의 흐름등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그 때부터야 비로소 책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니 일주일이 넘는 여행이 아니라면 소설이 늘 적절한 읽을꺼리는 아니 셈이다.  

이 책의 제목처럼, 일주일 정도이 넘는 여행은 내게 소설이 필요한 시간인 셈이다. 김영하가 어느 책에서 쓴 것처럼 크레타 섬에서 <희랍인 조르바>를 읽고, 알제리의 오랑에서 <페스트>를 읽는 수준은 아니더라도 늘 머물러 있던 장소가 아닌 곳에서 딴 생각을 하면서 읽기에는 소설이 딱이다. 하지만 왕복 6시간의 기차 안에서 읽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렇다면 그 시간은?   

집에서 멀어질 수록 집에 대해서 좀 더 객관적으로 생각해보게 되고, 출근하고 일하고 퇴근하는 일상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내 쳇바퀴 같은 삶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된다, 아니 그래보고 싶다, 비록 3시간일지라도. 그렇다면 이럴 때 필요한 것은 어쩌면 명상의 기술이나 자기최면이 필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내게 그런 재주는 없으니.... 삶의 문제를 체계적이고 꼼꼼하게 살펴볼 수 있는 생각의 도구, 그게 이 책이 전하고자 하는 '철학'이 아닐까 싶다. 그러니 세시간의 기차 안에서 내게 필요한 것은 소설이 아니라 철학이고, 이야기가 아니라 담론이고, 감동이 아니라 성찰일 것 같다.  

그러니 부산으로 가는 기차 속의 시간은 소설이 아닌 '철학이 필요한 시간'이다, 이 책의 제목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