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가스의 탄생 - 튀김옷을 입은 일본근대사
오카다 데쓰 지음, 정순분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년전 일때문에 삿뽀로에 갔다. 여행이 뭐 별거냐? 물론 이렇게 얘기하면 화낼 사람도 있겠지만, 집이 아닌 낯선 곳에서 먹고, 마시고, 돌아다니고, 자는 것. 그러니까 낯선 것을 먹고, 낯선 것을 마시고, 낯선 곳을 돌아다니고, 낯선 곳에서 자는 것, 이것이 어딘가를 여행한다는 것의 의미가 아닐까?  덧붙여 말이 된다면 낯선 사람들과 얘기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은 일본사람들도 한국과 비슷한 것을 먹고, 마신다는 것이다. 너무 당연한 건가? 굳이 기억해내기 어려운 음식들을 끄집어 낼 필요도 없다. 경양식집-어렸을 적에는 이런 간판이 붙은 음식점들이 많았는데, 대체 경영식이라는 것이 뭘까? 그럼 중양식도 있나?-에서 먹었던 카레라이스, 돈까스가 실제로는 일본음식이라는 것이다, 양식이 아니라!  그리고 추정이긴 하지만 경양식이라는 용어가 아마도 일본식 용어일 가능성이 많다.   

좀 다르게 얘기하자면, 카레라이스가 인도의 카레스와는 다른 음식이고, 돈까스가 서양의 포크커틀렛과는 다른 음식이라는 것이다. 비록 서양에 기원을 둔 요리(?)들이지만 과거 어느 시점엔가부터는 일본화되어버린, 그래서 지금은 인도음식점이나 양식당에서 보다는 일식집에서 훨씬 더 쉽게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일본화된 대표적인 서양음식, 카레라이스, 고로케, 돈가스,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도 일본이 메이지 유신 이후에 육식에 대한 금기를 깨면서 개발한 돈가스의 탄생 배경을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음식과 역사를 기대하고 읽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조리법 대한 내용도 꽤 자세하게 나온다. 요리에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은 사족처럼 느껴지지만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꽤 흥미있는 내용이다. 일본 밀과 서양 밀의 차이, 왜 소고기나 닭고기 아니라 돼지고기여야 했나? 라는 의문이 생긴다면 더더욱 흥미로운 읽을 거리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