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자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7
페데리코 안다아시 지음, 조구호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부학자의 삶을 다루었다는 설명만 보고 덜컥 주문해 버린 책이다. 그러니 페데리코 안다아시라는 작가의 이름은 당연히 처음 듣는 것이고, 작가의 나라인 아르헨티나- 메시? 참 보르헤스가 있었군- 역시 소설이라는 분야와 관련해서는 그리 익숙한 나라가 아닐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덜컥 사서, 후다닥 읽은 것은 '해부학'이라는 한 단어 때문이었다.   

막상 책을 사서 표지와 속지에 쓰인 설명을 보면서 알게 된 새로운 사실은 이 소설의 주인공인 해부학자 마테오 콜롬보가 발견한 것이 그 뭐냐... 음... 그러니까... 흠흠...작년 광고계 최대 유행어로 표현하자면, 참, 뭐라 말로 표현할 방법이 없는, 여성 질 속의 해부학적 구조인 클리토리스였다는 사실이다. 클리토리스가 뭐냐고? 아마도 인터넷으로 클리토리스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면 금방 알 수 있으리라. 우선 이 단어를 검색창에 치자마자 제일 먼저 해야 하는 일은, 절대로 다른 사람들이 줄서서 기다리는 곳에서는 검색하지 말자, 검색자가 19세 이상임을 증명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만 봐도 심상치 않은 단어임을 알 수 있다. 이 단어를 검색해서 나오는 것은 형이상학과 아주 거리가 먼, 주로 허리하학(?)에 관한 것들이다.   

여성 질 속의 구조물이면서 여성의 성감대 중의 하나인 클리토리스. 이것을 발견한 해부학자의 삶이, 이 소설이 사실이든 허구든 간에, 결코 마테오 콜롬보의 스승이면서 실제 시체를 최초로 해부한 베살리우스나, 폐순환을 발견한 윌리엄 하비의 삶과 같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베살리우스는 산사람을 해부했다가 가까스로 사형을 면하고 성지순례를 하던 중에 죽었다. 그래서인지 그의 삶 속엔 성스런 아우라가 있다. 하지만 마테오 콜롬보가 발견한 것은 클리토리스다. 그러니 그의 삶이 해부실과, 강단과, 아카데미와, 연구실, 그러니까 연구와 진료와 교육을 오가면서 전개될 것이라는 우아하지만 속보이는 상상을 하지는 말자, 그건 저자와 독자 자신을 기만하는 행위이다. 클리토리스는 그런 삶 속에 들어가 있을 만한 단어가, 아니 해부학적 구조가 아니다.   

저자가 고른 독특한 신대륙, 동명의 탐험가 콜롬버스가 발견한 신대륙처럼,은 여성의 '그곳'과, 남자의 '그곳'과, '그곳'의 유곽과, 변태와, 유아성애에 대한 욕망으로 가득한 바다 위에 떠 있다. 하지만 여기서 하나 더! 이 소설은 속된 욕망의 배설과 금기를 꿈꾸는 지점에서 끝나지 않는다. 아랫동네와 매음굴을 전전하던 이 작품은 콜롬보의 재판과정으로 넘어와 그의 논문의 각장을 상세하게 공개하면서, 단지 야한, 또는 관능적인 소설의 차원을 넘어선다.  

콜롬보가 논문을 통해서 증명하고자 했던 것은 사랑이라는 욕망이 클리토리스라는 구체적인 구조물과 어떤 '카이네틱스'로 연결되는 것이냐에 관한 것이면서, 동시에 영혼과 신앙의 문제가 관능과 쾌감의 문제를 어떤 식으로 구원할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었다. 좀 더 단순화 시키면, 그가 시도하고자 했던 것은  정신과 육체, 이성과 감성, 성과 속 이라는 중세적 이분법들을 '클리토리스'를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시도의 중심에 있는 단어는 바로 '사랑'이다.  

그는 자신의 신대륙에서 무얼 보았을까?  

그래, 모나 소피아! 하지만 '사랑'의 바다위에 떠있는 신대륙을 발견한 해부학자, 마테오 콜롬보가 마지막으로 본 것은 매독으로 썩어가는 연인의 몸뚱이였다. 유곽의 마돈나, 속됨과 육체적 욕망의 결정체! '사랑'이라는 단어는 늘 아름답고 찬란하지만 그것을  비추는 육체는 언젠가 썩어 없어진다. 비록 그것이 찬란하도록 아름다웠다 할지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