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폴 오스터 지음, 이종인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폴 오스터의 소설이 갈수록 어려워진다. 이야기가 복잡한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이전의 작품들과 비교해서 훨씬 단순했졌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한 문장이다. 애덤 워커가 루돌프 보른을 만났다. 이 단순한 사실로부터 출발한 소설은 이 둘의 만남과 헤어짐을 중심으로 두 인물과 주변인물들의 이야기들을 풀어낸다. 그리고 참, 노상강도가 한 명 죽는다. 이 소설 속의 가장 극적인 사건은 '살인'이고, 이 사건은 모든 갈등, 그러니까 워커와 보른의 헤어짐의 계기가 된다. 그나마 이 '살인' 역시 소설이 진행되는 동안 그 극적인 의미가 희석되어 버린다.      

이 작품이 읽기 어려운 것은 소설의 중심에 '사건'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호한 소문들만이 떠돌아다니기 때문이다. 누구의 말이 사실인가?, 무엇이 소문이고, 무엇이 사실인가? '워커와 보른이 만났다'라는 단순한 이야기 위에 긴장감을 주는 것은 사실인지 상상인지 알 수 없는 소문의 모호함이다. 아마도 '보이지 않는' 이라는 이 책의 제목은 이 소문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는 단어가 아닐 듯 싶다. 왜냐하면, 이 소문들은 누군가에서 말해지고 기록되어 있는 이야기이지만,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일어나기를 바라는 일이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소문은 근친상간과, 살인과, 동성애와, 롤리타 컴플렉스로 이어지고, 일인칭으로, 때론 이인칭으로, 소설로, 녹음기로, 편지로, 일기로 기술된다, 마치 사실인양.  

금기의 단어들로 가득한 소문의 내용이 전개되고, 소설의 후반부에서 워커와 누나의 진술이 엇갈리면서 '기억은 해석에 불과하다' 는 <라쇼오몽>의 주제를 또 써먹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잠시 들었지만 불안함은 잠시뿐. 폴오스터는 이 지점에서 이제껏 전개된 이야기에 다시 한 번 사실이 아닐 수도 있는 가능성들을 활짝 열어두면서 이전 소설 속에서 써먹었던, '물타기'(?)를 시도한다. 그런데 이 작품 속의 '물타기'가 이전 작품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 물타기가 '소설'이라는 형식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작가는 워커와 보른의 이야기가 다른 이의 이름으로 된'소설'로 출판될 것을 암시한다. 물론 이것도 가능성일뿐.    

이 책의 결말은 모호한 소문만큼이나 모호하다. 소설을 끝까지 읽고나면 몇가지 질문들이 떠오른다. 왜 사실은 안되고 픽션은 되는 걸까?  '보이지 않는' 이란 단어의 의미는 뭘까? 왜 저자를 바꿔야 할까? 왜 하필 소설일까? 물론 이 질문들의 답을 모른다고 해서 이 소설을 읽는 즐거움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폴오스터의 최대 강점은 수많은 의문부호들로 가득한 모호함들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그는 뛰어난 소설가이면서 완벽한 이야기꾼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