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굳빠이 이상>이후로 읽은 김연수의 소설들이 모두 별로였지만, 왠지 모를 기대감에 또 읽게 되었다. 장편소설과 단편소설집들을 꾸준하게 발표하면서, 동시에 번역도 하는 것을 보면 김연수는 성실한 글쟁이임이 분명하다. 그의 소설들 역시 그의 성실함이 묻어나 있다. 이전에 몇 번 실망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작가의 소설을 또 사서 읽는 것을 보면 그의 성실함이 좋은 결과, 다른 독자들은 이미 그런 좋은 결과를 보았는 지도 모른다, 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아닐까 싶다.  

별 기대를 하지 않고 읽기 시작한 이 소설의 시작부분은 실망스럽다. 왜냐하면 이 소설이 또 '운동권'얘기였기 때문이었다. 누군가가 대학생때 운동권이었고, 누군가는 누구랑 사랑에 빠졌고, 그러나 누군가는 붙잡혀서 곤욕을 치루고, 그다음에는 인생이 비비꼬이고 이상하게 되어 버렸다는 이야기, 한 때 홍수처럼 쏟아졌던 운동권의 '후일담'을 소재로 한 소설들을 몇권 읽어본 독자라면 정말 앞으로 전개될 이야기가 불 보듯 '빤'한 것 아닌가! 

이 소설 역시 그런 빤함에서 별로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소설이 전개되면서 작가는 이런 빤한 스토리 라인에 좀 새로운 문제제기를 시도한다. 작가가 던지고 있는 의문은 그 모든 일들과 세상을 개혁하고, 대의에 목숨을 걸고, 화염병을 힘차게 던졌던 우리, 또는 나라는 존재가 '우연'한 것들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우리가 화염병을 던지고, 구호를 외치고, 최루탄을 맞으며 지키려고 했던 모든 행위들이 어떤 역사적인 필연에 의한 것들이 아니라 단지 우연한 해프닝에 불과한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모든 개인들의 삶과 삶의 목표들은 지극히 허무한 것이 되어 버린다.  

작가는 소설 속 인물들의 과거와, 그들의 조상들의 과거와, 그리고 그 모든 이들의 과거를 엮어가면서 자신이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사실, 그의 답이 썩 맘에 들지는 않지만, 그리고 그 답이 아주 설득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답은 '나'라는 존재와 '나'라는 존재의 모든 행위는 '우연'이라는 공허한 근거에 기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보다는 훨씬 더 필연적이고 현실적인 이들의 삶이 얽혀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독일과 일본과 한국을 거쳐서, 또 주인공들의 할아버지와 할머니들의 인생역정을 통해서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결론이다.

역시나, 이 소설 역시 김연수의 다음 소설들을 읽을까 말까하는 고민에 빠지게 만든다. 썩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새로운 문제제기를 시도하려는 그의 '성실한' 노력이 돋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