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의 규칙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혁재 옮김 / 재인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의 규칙들을 제시하고, 거기에 해당하는 단편소설들을 묶어서 보여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 소설이다. 소설을 읽다보면 제목에 굉장히 충실하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진짜 명탐정, 또는 추리소설의 '규칙'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으니까. 하지만 왠지 좀 아쉬운 느낌이 드는 것은 이 작품 속의 단편들이 규칙에 갇혀 있을 뿐, 그 이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추리소설은 픽션이고, 따라서 탐정 역시 완벽할 수 없고, 작가 역시 완벽할 수 없다, 절대로! 이걸 모르고 있는 독자들이 있을까? 굳이 추리소설이 갖고 있는 태생적 한계와 약점들을 들추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건 마치 순정만화를 그리는 만화가가 백마 탄 왕자는 없고, 신데렐라나 캔디처럼 역경을 딛고 왕자님이나 테리우스를 만나는 것이 현실 속에서는 불가능하다는 내용의 만화를 그리는 일과도 같다. 일종의 자학성 작품활동이라고나 할까!  

이런 방식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가 자학적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근본적으로 긴장이 없기 때문이다.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작가 자신이 자신이 쓰고 있는 작품에 대해서 냉소적인데, 독자는 말할 것도 없다. 집중을 해서 읽고 싶은 마음이 전혀 안 생기는 것이다. 

추리소설의 한계를 짚고 넘어가는 것이 '자학'의 수준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것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것이 뭔지는 나도 정확히 모르겠지만. 이 소설의 마지막 단편은 이런 문제의식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아마도 이 소설은 여기서부터 시작해야 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좀 더 진지한 소설이 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