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오랜만에 읽은 한국소설이다. 더군다나 처음 읽게 되는 신경숙 씨의 소설이다. 무슨 이유가 있어서 그랬던 것은 아니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그 이유 아닌 이유(?)를 어렴풋하게 알게 되었다. 그것은 이 소설에 대한 나의 불만과 연관이 되어 있는데, 한마디로 하자면 이 소설이 주는 감동이 구태의연하다는 데에 있다.
남편에게 무시당하고, 평생 자식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한 엄마, 자식들과 남편은 엄마를 잃어버리고 나서야 엄마와 남편의 의미를 깨닫는다. 이 소설은 이 이야기 틀로부터 단 한치도 벗어나지 않는다. 물론 나도 이 소설에 감동한 다른 독자들처럼 훌쩍훌쩍 울기도 하고, '엄마'에 대해서 조금 생각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이 모든 감정이입은 모든 사람들이 알고 경험하고 살고 있는 '엄마'로 부터 시작된 것이지 소설 '엄마를 부탁해' 때문만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좀 심하게 말하면, 굳이 '엄마를 부탁해'가 아니더라도 군대간 아들을 만나러 온 '우정의 무대'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우정의 무대를 비하하려는 것이 아니라 '엄마를 부탁해'가 기대고 있는 '엄마'라는 단어가 너무 안이하다는 것을 얘기하려는 것이다.
만약 기존의 이야기들과 차이점이 굳이 찾는다면, 남편이 아닌 애인이, 엄마에게도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 새로운 사실, 그러니까 엄마에게도 사생활이 있다는 사실은 이 소설의 인물들에게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이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엄마와 이 소설의 화자, 도무지 정체를 알 수 없는 동시에 대체 왜 이런 시점을 택했는지 이해가 절대 안되는, 뿐이니까. 그리고 이 소설 속의 유일한 새로운(?) 시도는 아무 소득없이 잊혀진다.
자식들을 먹이고 입히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집안의 중심이 되는 엄마가 아닌 하나의 인격체, 그러면서 '개인'으로서의 '엄마'를 발견하는 것이 이 소설의 목적이었다면, 엄마의 연인은 좀더 작품의 중심으로 들어와야 한다. 그리고 이 사건은 이 소설 속의 모든 이들에게 영향을 발휘해야 한다. 그랬다면 아마도 좀 더 새로운 '엄마'를 발견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르겠다.
근데, 이 소설을 그렇게 많은 독자들이 좋은 평가를 했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