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결혼 시키기
앤 패디먼 지음, 정영목 옮김 / 지호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에 다 읽어버리기 아까운 책이다. 다음에 읽게 되면 한편 한편 읽어야 겠다. 누구말마따다 이건 그냥 글이 아니라 전문가가 한편, 한편, 한글자, 한글자 심혈을 기울여 쓴 글이기 때문이다.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아니 책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고민하는 문제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가 하나하나 가슴에 와닿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인상적인 부분을 몇가지 꼽으라면, 정확하지는 않지만 책의 내용만을 읽고 책에 조그만 흠이라도 생길까봐 전전긍긍해서 모든 책을 깨끗하게 보는 사람들은 책의 정신만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책과 플라토닉한 사랑을 나누는 이들, 그들의 집안에 책 속지에는 절대로 서명따윈없다.  

책의 본문에 줄을 치는 것을 꿈도 꿀 수 없는 얘기고, 반듯하게 선반에 수직인 채로, 휘거나 기울여서 놓여 있어도 안 된다. 왜냐하면 그들은 책을 섬기는 책의 시녀들이기 때문이란다. 시녀적인 마음을 가진 사람들에게 책은 섬김의 대상이지만 책의 육체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책으로 블록을 쌓고 기울어진 책상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고, 요리책들은 찌개를 끓이다가 뜨거운 그릇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아니, 아무리 책을 싫어해도 그렇지 신문지와 폐지와 잡지들도 많은 데 하필 신성한 '책'을 꼭 그 시시껄렁한 일에 사용해야 하냐고 항의를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사실 나 역시도 그럴 것이다.  

하지만 책과 육체적인(?) 사랑을 나눈다는 저자의 의견은 전혀 다르다. 아이들의 책들이 블록을 쌓다가 구겨지고, 심지어 어떤 아기들은 먹기도 할 것 같다, 먹어서 일부 페이지가 없어지고, 책상을 받치기 위해서 밑에 깔려 동그란 자국이 남고, 요리책 위로 찌개가 엎어져 설명하기 어려운 냄새가 은근히 난다는 것, 그런 모든 것들이 '책'이 갖고 있는 사연이고, 책과 책을 읽은 사람이 함께 경험한 세월의 흔적이라는 것이다. 책의 내용만이 아니라 책의 육체가 독자와 함께 늙는다는 것, 저자의 말을 듣고 보니 정말 그럴싸하다.  

앞으로 좀 더 책들을 험하게 굴려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