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 스토리 - 상 밀리언셀러 클럽 7
피터 스트라우브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10월
평점 :
절판


스티븐 킹이 쓴 <죽음의 무도>를 읽고 나서 첫번째로 드는 생각은 바로 이 소설, 피터 스트라우브의 <고스트스토리>를 읽어봐야 겠다는 것이었다. 아마 다른 이들도 나와 마찬가지이리라. 이 작품을 해설하면서 이어지는 킹의 끝없는 극찬. 도대체 킹과 같은 대가가 이토록 칭찬하는 작품은 얼마나 대단한 것일까? 하지만 대가들의 극찬을 받은 작품이 반드시 재미있다는 보장은 없다. 올해 독서 목표인 '호러소설 읽기'를 생각하며 혹시나 하면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 소설의 시작은 알쏭달쏭하고 상황을 언뜻 파악하기 어려운, 유괴? 소아성애자? 변태 연쇄살인마? 이런 뻔한 상상을 하게 만드는 장면으로 시작하고, 알쏭달쏭한 프롤로그가 끝나고 나면 밀번이라는 도시의 평범한 일상이 그려진다. 차우더 클럽 노인들의 일상, 그들의 평번한 사교모임, 주변사람들과 풍경들, 여기에 몇가지 암시가 더해진다. 일년 전에 있었던 차우더 클럽 회원의 죽음, 마을사람들의 복잡한 애정사, 마을에서 벌어지는 원인모를 가축들의 죽음들, 뭔가를 알고 있는 듯한 차우더클럽들의 노인들에 대한 묘사가 단편적으로 이어진다. 상권을 읽는 내내 정체를 알수 없었던 이 소설은 이야기는 전혀 관련없어 보이는 사건들이 이어지고, 전혀 관련이 없는 인물들의 연관되고, 그들의 관련된 사건의 공통점들이 밝혀지면서 슬슬 시작된다.  

이 작품의 중반쯤 되면 킹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피 범벅이고 우당탕쿵탕 하는 공포와는 전혀 다른, 으스스하고 싸늘한 공포가 등줄기를 한번 훑고 지나간다. 과거와 현재가, 환상과 일상이 교차되고, 주인공들의 욕정과 도덕이 교차된다. 이 작품이 뛰어난 것은 과거의 사건들을 치밀하게 조직하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소설이 진행되는 동안 주인공들이 겪은 과거들은 과거의 어떤 사건, 또는 어떤 인물로 수렴된다. 이 소설의 뛰어난 점은 이 수렴을 논리적으로 이끌어내지 않고, 교묘한 암시와 비약을 통해 독자가 상상하게 만든다는 데에 있다. 독자의 공포는 이 비논리적인 상상에서 출반한다. 덧붙여 '악'을 대면하는 이들이 보게 되는 장면에 대한 묘사 또한 압권이다. '악'이 만들어낸 환상이 주는 일상적이고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하면서 곧 이어 그 풍경이 얼마나 허물어지기 쉬운가를 꼼꼼하고 섬세하게 보여주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준다. 이거 작가가 실제로 본 거아냐?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만약 이 소설이 보여주는 '악'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이 장면처럼 우리를 몰아 세울 것 같다.  

하지만 독자라면 소설이 끝나기 전에 한번쯤 이런 질문을 해봐야 한다. 그런데 대체 왜 이 모든 인물들이 그 '악'에게 공격을 당하는 거냐?  여느 공포 소설들처럼 이 소설의 인물들도 숨기고 있는 '죄'가 있고 당연하게도 악'의 출현은 그들의 '죄'와 깊은 관련이 있다. 소설의 후반부에 밀번에 모인 모든 인물들이, 그러니까 차우더클럽의 노인들과 그들의 주변인물들이 겪었던 과거의 비극과 그 비극의 핵심을 이루는 '죄'가 드러난다. 그리고 이 소설의 가장 핵심인 그들의 '죄'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 누구인지가 밝혀진다. 여기까지 읽고나면 그러니까 결국 과거에 죄지었으니까 이제야 벌받는거다, 라고 생각하려는 순간, 이 소설은 그런 권선징악의 구태의연한 당위로부터 훌쩍 달아난다.  

이들이 겪게 된 '악'은 과거의 욕망과 현재의 욕정, 또는 불륜, 때문이 아니다. '악'은 훨씬 오래전부터 있던 것이고, 이들은 불멸의 존재이다. 이게 왜 존재하냐고? 그걸 소설가에게 물어보면 안되지. 그런 질문은 신부님이나 목사님들에게 할 것. 작가가 작품 속에서 얘기하고 있는 것은 '악'이라는 것이 우리가 몰래 남편이나 부인이 아닌 딴 여자나 딴 남자랑 자거나, 또는 실수로 누굴 죽여놓고 얼렁뚱땅 감췄다고 해서 생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굳이 따지자면, 그보다는 '불멸'에 대한 무의식적 욕망 때문에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악'이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하는 것은 것은 우리가 죄를 지었기 때문이 아니라 불멸에 대한 우리의 '편집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건 마치 하와를 꼬득인 사탄의 유혹과도 같다. 하와의 악함이 불멸에 대한 욕망을 버리지 못해서 생겼기 때문에. 누구든 죽을 수 있는 것처럼, 누구든 죄를 지을 수 있다, 하지만 불멸을 바라는 것은, 또는 불멸하는 것은 '악'이다? 아니면 '신'이거나. '악'은 언제나 존재하는 것이고 우리가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죽거나 혹은 싸워야 한다. 살고자 하지 않고 죽으려고 할때, 이순신 장군의 말씀같지만, '악'의 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인간이 갖는 삶의 공통점, 그건 바로 되돌릴 수 없는, 되돌아 갈 수 없는 일회성이다. 그것이 '악'과 '인간'의 유일한 차이점이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보면, 우리 삶의 모든 '죄'가 결국 '죽음'을 거부하기 때문에 생긴다는 것. 불멸을 원하는 순간, 삶은 아름다움을 잃는다. 불멸의 삶은 늑대인간이나 뱀파이어나 좀비의 삶이니까.

한 해를 시작할 때 읽은 소설치고는 좀 무섭지만, 어쨌든 최고다. 근데, 좀 춥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