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유시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읽기의 방식이 삶의 방식이라는 장정일의 말은 전적으로 옳다. 유시민의 독후감 모음집인 <청춘의 독서>는 유시민이라는 인물의 삶의 방식을 보여준다. 책읽기와 관련되어서 최근에 읽은 책들은 꽤 여러가지지만 내 머릿속에 가장 인상적으로 남아있는 것은 역시 장정일의 독서일기이다.  

지금은 독서일기라는 제목을 쓰지 않기 때문에 독서와 일기라는 의미가 퇴색해버렸지만 이 책의 의미는 한단계 높은 독서의 수준과 일기의 수준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있다. 일관성도 없고, 목차도없고, 이야기도 없는 책. 하지만 이 책역시 하나의 '이야기'이다. 왜냐하면 그의 말처럼 읽기의 방식이 삶이 방식이니까, 다른 말로 한다면 읽기의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삶의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으니까.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 곧 하나의 이야기인 것이다.  

장정일의 독서일기에 익숙한 독자라면, 이 책의 방식은 조금 낯설것 같다. 저자는 자신의 장기를 살려 미학적인 접근 보다는 역사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하긴, 유시민하면 떠오르는 것은 거꾸로 읽는 세계사 아닌가?  이 책 속에서 보여주는 저자의 책읽기는 러시아소설에서 한국소설로, 근대에서 현대로, 경제에서 진화론으로,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지만 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것은 따로 있다. 그건 바로 '역사'이다.  

E.H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로 책의 대미를 장식한 것은 아마도 그런 의미가 아닐까 싶다. 그가 읽은 모든 책들 속의 주인공은 결국 '역사'이고 그가 책을 통해서 보고자 하는 것도 '역사'이고 글을  통해서 보여주려고 하는 것도 역사이다. 역사, 히스토리, 스토리, 이야기. 

내가 읽은 책들 속에서도 삶의 방식을 읽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