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 바이 미 - 스티븐 킹의 사계 가을.겨울 밀리언셀러 클럽 2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황금가지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대는 돈벌이, 20대는 여자친구, 10대는?  

어린 시절 친구들끼리 모여서 떠들다 보면 언제나 등장하는 소재는 바로 '괴담' 이다. '괴담'이 등장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은 '괴담'을 확인하는 '모험담'인데, 내가 어린 시절 친구들과 주로 떠들었던 얘기들은, 뒷산에 묻혀 있는 해골이나 자정이 되면 학교를 돌아다니는 귀신, 아파트 숲속에서 밤마다 들리는 애기울음소리 괴담(?)들이었다. .  

<스탠바이미>는 실종된 아이의 시체를 확인하러 가는 네명의 소년들의 이야기이다. 사십이 다 된 어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아니 연초의 해돋이 풍경도 아니고, 유명한 화가가 그린 아름다운 예술작품도 아닌 시체를 보러 산넘고 물건너 간다는 것이 참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일이지만 시체를 찾으러 가는 이들이 어른이 아닌 '소년'이라면 쉽게 수긍이 된다. 더군다나  책속에 등장하는 아이들처럼 엄청난 개구장이들이라면 더더욱 그럴싸해진다. 황당한 네명의 모험담에 소설가가 된 주인공의 습작소설들이 끼여들어서 이 소설은 이야기들로 가득해진다. 복잡한 구성과 알쏭달쏭한 복선과 상징들을 쓰지 않고 '이야기'만으로 소설을 만들어 내는 스티븐킹의 능력이 놀랍다.

시체를 찾으러 가는 아이들의 이야기의 결말은 뭘까? 그건 생각해 볼 것도 없이 당연히 시체를 찾는 거지 뭐. 물론 이 소설의 주인공들도 '죽도록'고생해서 시체를 찾는다. 그리고 시체를 찾고 난 후에도 '죽도록' 고생한다. 시체를 찾고 나서 '죽도록' 고생하는 후기는 왠지 긴 여운이 남는다. 이 부분이 이 소설을 다른 방식으로 읽게 만든다.  

스티븐 킹의 여느 소설들처럼 이 소설 또한 두가지 방식으로 읽힌다. 하나는 지금까지 모든 이들이 읽은 방식처럼 시체를 찾는 네 아이들의 모험담으로 읽는 것이다. 두번째는 '죽음'과 무차별적인 '운명'에 대한 우화로 읽는 것이다. 책을 끝까지 읽고나면 두번째 방식으로 읽는 것이 왜 가능한지 알게 될 것이다. 하지만 자세히 설명하면 미리니름이 되므로 여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