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변호사는 살인자가 되고, 살인자는 사진작가가 되고, 사진작가는 살인자임이 드러난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해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우선 변호사의 취미를 사진찍기로 만들고, 돈 또는 여자 문제로 살인을 저지르도록 만드는 것이다. 위대한 소설가, 아니 꼭 소설가가 아니더라도 이 정도 쯤은 쉽게 생각 해 낼 수 있다.
근데 스릴러 소설이잖아. 그러면 뭔가 '스릴'이 있어야 하는데...... 소설가가 아닌 내가 생각할 수 있는 설정은 이런 것이다. 변호사는 원래 끔찍한 살인자여서 끔찍한 방법을 동원하여 살인을 마구 저지르고, 끔찍한 살인자답게 취미로 자기가 살인하는 장면을 찍는다? 좀 개연성이 떨어지지만 이런 구성도 괜찮을 것 같고...... 아니면, 사진작가가 꿈이었던 변호사는 절대적인 '미'를 위해 진짜 죽음을 찍기로 하고, 일종의 스너프 필름, 이를 위해 살인을 저지른다? 이것도 꽤 무섭네.
하지만 설마, 사진작가가 꿈이었던 주인공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어쩔 수 없이(?), 아버지의 엄청난 도움에 못이겨(?) 변호사, 근데 이게 더 되기 어려운 것 아냐?, 가 되고, 우연히 부인의 부정을 목격해 살인자가 된다는 식의 설정은 아니겠지? 라고 생각했다. 적어도 나는. 너무 뻔하잖아!
근데 불행하게도 이 소설이 바로 그렇다.
덧붙여 우연히 찍은 화재 사진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한 인물이 되어 위기에 빠진다는 전개는 너무 엉성하다 못해 황당하기 까지 하다. 상상력은 빈곤하고, 전개는 구태의연하며, 결말은 너무 구태의연해서 오히려 당황스럽기 까지 하다. 스릴러 소설이라기 보다는 '행복한 가정' 또는 '소중한 나'를 주제로 한 지루한 설교 같다.
스릴 넘치는 설교가 가능할까?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