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침의 문 - 2010년 제34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박민규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0년 1월
평점 :
요즘 어떤 작가들이 잘나갈까? 또는 소설을 읽으려고 하는데 어떤 책을 읽는게 적당할까? 라는 생각이 들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책이 바로 이 책, '이상문학상 작품집'이다. 경우에 따라서 다르긴 하지만 우선 여러 작가들의 작품들이 모여 있으므로, 골라 먹는 또는 고르면서 읽는 재미가 있고, 이상문학상이라는 '권위'로 보증된 작가들이라는 점에서 이 책은 다른 수상집들에 비해서 좀 더 안전하다.
근데 소설들이 '고만고만' 하다. 박민규의 소설은 수상작인 '아침의 문'보다 '딜도가 우리 가정을 지켰어요' 가 더 낫다. 수상작인 '아침의 문'은 박민규 답지 않고, 기존의 틀을 굉장히 의식하면서 쓴 티가 난다. 내 생각엔 이 작품의 가장 큰 문제는 상황이 지나치게 인위적이라는 것이다. 절묘한 타이밍, 삶과 죽음들을 교차시키려는 작가의 노력은 높이 평가하지만 구성이 매끄럽지 않고 끼워맞춘 느낌이 든다. 그런 면에서 보면 '딜도......'에서 제시된 상황들은 단순하고, 연결이 매끄럽다. 하지만 내가 최근에 박민규의 소설을 읽으면서 생긴 의문인데, 화성, 괴물, 이상한 동물, 엽기적인 상황...... 을 제시하는 작가의 의도는 대체 뭘까? '딜도......' 역시 그런 의문들이 해결되지 않아서 좀 아쉬웠다.
SF 풍의 소설이 실려있는 것이 참신했지만, 이 소설의 결말이 미적지근해서 좀 실망했다. 그외의 소설 중에서는 '투명인간'이 가장 좋았지만 주제의식을 좀 더 분명하게 부각시켰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 소설은 희곡으로 각색을 해도 좋을 것 같다. 김애란의 소설 역시 박민규와 비슷한데, 그건 바로 김애란 답지 못하다는 것이다. 어디선가 본듯한 분위기와 이야기, 구성이라는 것이 이 소설의 약점이다. 물론 작가가 표절을 했다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스타일을 좀 더 드러냈으면 더 좋은 소설이 되었을 거라는 아쉬움이 남는 소설이다.